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8.


《히로시마, 사라진 가족》

 사시다 가즈 엮음·스즈키 로쿠로 사진/김보나 옮김, 청어람아이, 2022.8.19.



구름이 짙은 하루이다. 소쩍새 노래로 밤과 새벽을 잇는 나날이다. 이제부터 여름까지 늘 소쩍새하고 하루를 보내겠구나. 이미 이 땅으로 깃든 여름새가 있고, 슬슬 건너오는 여름새가 있다. 다들 먼먼 하늘길을 누볐을 테지. 고흥으로 찾아온 이웃님하고 ‘책마루’를 이야기한다. 시골이건 서울이건, 앞으로 오래오래 이으면서 알뜰살뜰 살림을 가꿀 수 있으려면 ‘책’을 보아야 한다. 책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돌아보고 살펴볼 눈을 틔워야 한다. 종이꾸러미에 담는 살림이 무엇인지 느껴야 하고, 아이들한테 아로새겨서 남기는 이야기를 어떻게 여미어 담아야 하는지 생각해야 한다. 아이들을 살피지 않으니 책을 안 읽는다. 종이책뿐 아니라 풀꽃과 바람과 해와 별과 들숲이라는 책을 안 읽지. 《히로시마, 사라진 가족》은 뜻있게 나온 책이기는 한데, 여러모로 아쉽다. ‘히로시마에서 사라진 한집안’을 너무 내세우는 바람에, 히로시마로 끌려가서 먼지나 이슬처럼 스러진 숱한 이웃나라 사람들은 아예 안 보인다. 히로시마에서 나고자란 수수한 사람도 ‘죽은이(피해자)’이기는 한데, 뜬금없이 히로시마로 끌려간 옆나라 수수한 사람도 ‘죽인이’이다. 두 얼굴을 나란히 밝히지 않는다면 자칫 ‘거짓탈’에 사로잡히고 만다.


#ヒロシマ消えたかぞく #指田和 #鈴木六郞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