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5.8.

숨은책 925


《유미리 戱曲集》

 유미리 글

 정진수 옮김

 예음

 1994.7.9.



  글이름으로 ‘유미리’가 덜 알려진 1994년에 한글판으로 나온 《유미리 戱曲集》입니다. 1997년에 ‘아쿠타가와 상’을 받고서 《풀하우스》와 《가족 시네마》와 《물가의 요람》을 비롯한 숱한 책이 한글판으로 나오는데, 이즈음 《유미리 戱曲集》 겉종이에 “일본 최고의 문학상”을 받았다는 글씨를 덧붙입니다. 글보람(문학상)을 안 받더라도 아름다운 책은 아름답게 마련이지만, 이 작은 책이 좀더 눈길을 받으면서 읽히기를 바랐을 테지요. 유미리 님은 2020년에는 ‘미국도서상’을 받습니다. 1997년이나 2020년이나 이녁은 한결같습니다. 두 나라 사이에서 어느 곳에만 뿌리가 있다고 여길 수 없다는 마음이요, 2018년에 후쿠시마 한켠에 연 마을책집 〈풀하우스〉는 조용히 나즈막히 살림빛을 나눈다고 합니다. 곰곰이 보면, 두 나라 모두 ‘한국문학·일본문학’에 안 넣는 듯싶습니다. 그렇다면 ‘재일조선문학’에는 들어갈까요? 글자락으로 삶꽃을 밝히고 살림빛을 나누며 사랑씨를 품는 길을 편 마음을 ‘세계문학’으로는 넣어서 받아들일 수 있는가요? 고름을 다독여 곱게 풀어내고, 생채기를 달래어 새빛으로 엮어내고, 멍울을 쓰다듬어 미움·싸움·가름을 멈추자는 뜻을 들려주는 이야기를 돌아봅니다.


福島南相馬市小高區東町1-10

1-chome-10 Odakaku Higashimachi, Minamisoma, Fukushima 979-2121 Japan


https://twitter.com/yu_miri_0622/status/177766723899009032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