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삐뚤거리는 2024.4.19.쇠.
마음을 기울이는 사람은 누가 옆에서 치거나 떠들거나 뭘 해도 아예 안 느껴. “마음을 기울여서 스스로 하는 일과 놀이”에 오롯이 잠기지. 마음을 안 기울이는 사람은 누가 옆으로 스치거나 낮게 속삭여도 느낄 뿐 아니라, 아무 짓을 안 하더라도 자꾸 휘둘리고 휩쓸려. 버스를 타고 움직이는 곳에서 글씨를 쓰기에 삐뚤거리지 않아. 책상맡에서 글씨를 쓰기에 반듯하지 않아. 모든 ‘글씨’는 ‘마음씨’란다. 모든 ‘말씨’도 ‘마음씨’이지. 마음을 사납게 쓰기에 말씨가 사나워. 마음을 감추면서 꾸미니까, “꾸민 말씨”가 드러나. 덜컹거리거나 흔들거리는 곳에 있든 말든 안 대수로워. 걸으면서 쓰거나, 서서 쓰더라도, 안 힘들지. “무엇을 쓴다”는 마음이기에 쓰고, “무엇을 쓴다”는 마음이 아니기에 못 쓰거나 아무렇게나 써. 어느 살림을 빚거나 다룰 적에도 같아. 스스로 ‘어떻게·얼마나·어떤’마음이 흐르는지 지켜볼 노릇이야. 무엇보다도 “사랑으로 쓰는 글씨”인지 헤아려 보렴. “사랑으로 짓는 밥”과 “사랑 없이 뚝딱거린 밥”은 달라. “사랑으로 지은 집”과 “사랑 잊은 채 올린 집”도 달라. 전쟁무기나 총칼에는 사랑이 없어. 꽃가루와 풀벌레노래와 둥지에는 사랑이 있지. 빗줄기와 햇볕과 바람에는 사랑이 뻗어. 겉보기로만 말끔하면 ‘겉글’인 ‘겉치레’야. 팔랑거리는 나비가 어떻게 사랑인지 바라보렴. 꼬물거리는 올챙이가 어떻게 사랑인지 살펴봐. 흐르는 구름은 어떻게 사랑일까. 새로 돋는 잎은 어떻게 사랑일는지 생각하렴. 네 손짓과 발걸음이 어떤 기운과 마음에 따라서 움직이는지 하나씩 짚어 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