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반가워요 (2020.12.16.)
― 전주 〈한가서림〉
우리 곁에 흐르는 철은 늘 새롭게 몸마음을 어루만지는 바람결이자 볕살입니다. 한겨울에 전주마실을 하면서 〈한가서림〉에 깃듭니다. 책집 바깥담에 ‘전주미래유산 34’라고 판이 붙었어요. 이런 판을 붙여 주니 반가우면서도, “판은 안 붙여도 되니, 전주시장과 전주시 사람들이 꾸준히 책마실을 다니기”를 바랍니다. 책집지기는 이름값을 바라지 않아요. 가까우면 틈틈이 마실하는 이웃을 바라고, 멀리 살면 모처럼 얼굴을 마주하면서 이야기를 하기를 바랍니다.
요 몇 해 사이에 일본한자말 ‘환대’가 지나치게 퍼졌습니다. 우리말은 ‘반갑다·반기다’인데 다들 잊은 듯싶더군요. ‘반갑다’에서 ‘반’은 ‘반반하다·밝다·밤·받다·받아들이다·받치다·바탕·바다·바람’하고 말밑이 나란하지요. 낱말 하나를 놓고서 마음을 밝히는 길을 눈여겨보면 서로 반짝일 수 있습니다.
이웃 어린이를 만나서 문득 “넌 ‘환대’가 무슨 뜻인지 아니?” 하고 물어보면, 거의 다 모릅니다. 이 일본말을 좋아하는 어른이 너무 많은 듯싶은데, 그만큼 어린이 곁에 없다는 셈일 테지요.
말은 늘 마음에서 나오고, 말이 새롭게 마음을 가꿉니다. 어떤 하루와 삶과 일을 맞이할 적에라도, 스스로 채찍을 휘두르는 말을 엮어서 떠올리거나 쓰다 보면, 스스로 갉아먹으면서 미워하는 길로 나아갑니다. 말은 “고르고 골라”서 해야 할 노릇입니다. ‘말’을 ‘말’이라고 쓰는 길부터, ‘마음’을 ‘마음’이라고 바라보는 걸음부터, 좋음도 나쁨도 싫음도 미움도 아닌, 스스로 풀어내어 녹이는 눈을 뜨려고 한다면, 누구나 오늘부터 거듭납니다. 말을 고르고, 가리고, 가누고, 가늠하고, 가꾸고, 가다듬고, 가붓이 사랑하는 사람은 마음꽃을 사르르 피웁니다.
들에 들풀 한 포기가 자라고, 마음에 마음꽃이 한 송이 자랍니다. 낱말 하나를 어루만지면서, 알찬 낱말책을 늘 곁에 두는 이웃님이라면, 말빛으로 노래하는 하루를 즐기면서 더없이 아름답겠지요.
풀을 푸르게 반기면서 풋풋합니다. 풀빛을 담은 책과 글을 가까이하면서 푸근합니다. 푸른노래로 말결을 가다듬는 사이에 푸짐하게 살림을 일구는 실마리를 찾아요. 풀고 품고 풋풋하니, 품앗이라는 길을 새삼스레 알아차립니다.
모든 책은 삶을 다루고, 모든 삶은 살림을 지피는 씨앗입니다. 모든 말은 마음을 담고, 모든 마음은 생각을 심는 밭입니다. 밤새 이슬이 맺은 풀잎을 훑으면서 눈을 밝게 뜹니다. 바람을 마시고 바다를 안으면서 발바닥에도 손바닥에도 파란하늘이 스며듭니다.
ㅅㄴㄹ
《야나기 무네요시》(국립현대미술관, 2013.5.25.)
《할머니 제삿날》(이춘희 글·김흥모 그림, 비룡소, 2011.1.21.)
《우리들의 흥겨운 밴드》(베라 B.윌리엄스/최순희 옮김, 느림보, 2005.6.27.)
《소년소녀 세계문학 르네상스 50 메리 포핀스》(이상우 글·정선지 그림, 대우출판사, 1991.10.10.)
《꽃의 도시 2》(타카하시 콘도/최윤희 옮김, 서울문화사, 2009.2.25.)
《D.D 보이 1》(김미림, 파랑새, 1994.4.27.)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