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연구 - 수정증보
강신항 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4.10.

읽었습니다 317



  우리가 오늘날 쓰는 글은 ‘한글’입니다. 한힌샘 님이 틀을 잡고서 이름을 붙이면서 “우리말을 담는 우리글”로 첫발을 내딛었습니다. 1400해무렵에 세종 임금이 ‘훈민정음’을 여미어 내놓았는데, ‘정음(훈민정음)’은 “우리말을 담는 그릇”이기보다는 ‘바른소리(표준발음)’ 구실이 큰뜻이었습니다. 《訓民正音硏究 增補版》을 1987년판 아닌 1994년판으로 읽었는데 한자가 새카맣습니다. 1987년에도 1994년에도 ‘한글’이 아닌 ‘한자’를 붙드는 눈썰미로 ‘우리글’을 밝힐 수 있으리라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다만, 이 책을 쓴 분은 ‘正音·聲音·純正·正聲’ 같은 한자말을 잘 골라서 쓰면서 ‘훈민정음 큰뜻’을 안 숨기고서 드러내었구나 싶습니다. 조선 오백 해에 “글을 배울 길이 없던 흙사람과 시골사람과 종과 하님과 소치기(백정)”는 ‘백성’에 들지 않았습니다. ‘훈민정음’은 ‘한문’을 마음껏 쓰고 다룰 줄 아는 이들이 ‘표준발음’으로 삼는 길잡이였습니다. 다만, 벼슬아치하고 우두머리는 사람들을 억누르는 틀만 살폈다면, 1900년에 이르러 주시경 같은 분이 나타나서 “마음을 담은 말을 누구나 글로 옮기는 길”을 펴도록 날개를 달았지요.


《訓民正音硏究 增補版》(강신항,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7.4.5.)


그래서 治國의 要諦로서 樂과 聲音이 純正해야만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序文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標準音으로서의 正音과 正聲을 說定해야 된다고 생각하였다. 게다가 宋國들과 마찬가지로 聖人之道를 옳게 理解하기 위해서는, 모든 학문의 기초가 되는 聲韻學과 文字學에 관한 理論的인 연구부터 필수적으로 시작해야 된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밖에, 朝鮮朝 建國初부터 隣近諸國들과 圓滑한 外交關係를 유지하기 위하여 司譯院을 설치하고, 譯學政策에 힘을 기울여 오는 과정에서도, 外國語音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를 옳게 표기할 表音文字의 必要를 느끼고 있었다. (5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