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에 나올 <우리 말과 헌책방>에 들어가는 머리말.


여는 글 ― 기다리지 않습니다

 짧다면 짧지만, 길다면 긴 제 삶 서른세 해입니다. 저는 벌써 적잖은 분들보다 길게 살았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노래꾼 김현식 님보다도, 서양음악을 하는 슈베르트보다도. 평론하던 채광석 님이 서른아홉에 돌아가셨는데, 서른아홉까지 고작 여섯 해 남았습니다. 만화를 그리던 송채성 님 나이는 진작 넘어섰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중국사람 노신 문학을 우리 말로 옮기던 박병태 님은 군대에서 숨을 거두었으니 한참 앞서 이분 나이를 넘었어요. 역사로 치면 옛날사람이지만, 혁명가 김산 님이 세상을 떠나야 한 나이가 서른셋입니다. 소설을 쓰던 심훈 님은 서른다섯에 이슬이 되셨고, 김소월 시인은 서른둘에, 윤동주 시인은 스물여덟에, 신동엽 시인과 이육사 시인은 서른아홉에 짧은 삶을 마칩니다.

 크고 반짝이던 별과 크지도 않고 반짝이지도 않는 조약돌을 견주는 일은 부질없습니다. 그러나 생각합니다. 큰별이라고 해서, 반짝별이라고 해서, 그이들이 태어날 적부터 대단한 사람은 아니었다고. 그이들 스스로 ‘기다리지 않고’ 자기 깜냥대로 할 수 있는 온힘과 온마음을 다했다고. 그렇게 가멸차고 다부지게 살면서 그 짧은 삶에도 굵직하게 발자국 하나를 남겼다고.

 이제는 헌책방 책시렁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책이 되고 있지만(새책방 책시렁에서는 더더구나 안 보이고요), 송건호 선생 책을 하나하나 갈무리해서 책꽂이에 꽂아 놓고 보니 74센티미터짜리 책시렁 한 칸에 꽉 들어찹니다. 송건호 선생은 전집이 나오기는 했으나 세상에 내놓지 않은 글이나, 당신이 기자로 일할 적에 내놓은 기사에다가 틈틈이 써 놓은 일기가 퍽 많은 줄 압니다. 우리가 알기로는 책 몇 가지, 또는 수십 권쯤이지만, 당신 한삶은 그렇게 만만하지 않아요. 우리가 볼 수 없는 자리에서 쪽잠조차 아껴 가면서 싸우셨다고 느낍니다.

 이번 《우리 말과 헌책방》에서 소개하는 인천 〈책사랑방〉 아저씨와 이야기를 하면서 곰곰이 되짚었는데, 다가오는 대통령 뽑기에서는 ‘가장 마음에 들 만한 사람을 뽑거나, 가장 마음에 들 만한 사람이 없다면 표를 버려야 한다’는 생각을 지울 길 없습니다. 가만히 보면, 제가 엮어내는 이 잡지 《우리 말과 헌책방》은 제 온힘과 온마음을 다하기는 해도 3호에서 2호를 돌아보면 참 어설프고, 2호에서 1호를 돌아보면 꽤나 엉성합니다. 4호에서 3호를 보아도, 10호에서 9호를 보아도 그렇겠지요. 그렇지만 대통령 뽑기에서는 ‘차선이 아닌 최선’을 뽑아야 한다고, ‘최선이 없으면 표를 버려야 한다’는 생각은 그대로입니다. 모자라기는 해도, 또 지지율이 낮다고 해도, 우리는 참말로 대통령이 되어야 할 만한 사람을 뽑아야 합니다. 책을 읽을 때 어떠하십니까? 가장 마음에 드는 책을 우리 주머니돈을 털어서 사야겠지요? 그럭저럭 마음에 들 만한 책이 아니라. 저도 그렇습니다. 잡지를 내면서 ‘기다리지 않’습니다. 그때그때 제가 낼 수 있는 가장 큰힘을 쏟고 가장 알뜰하다고 여기는 글만 추려서 하나로 묶어냅니다. 2호까지 정기구독 하는 분이 105분이 되었습니다. 밑지지 않고 잡지를 묶으려면 적어도 300분은 되어야 하지만, 105분 모두모두 고맙고 소중합니다.

 2007년 8월 27일
 최종규 적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