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 서울에서 문득 깃든 곳에서 두런두런 이야기를 하다가 떠올라서, 이제는 더 늦추지 않고서 "헌책방 사진"으로 사진책이나 사진이야기책을 꾸리려고 합니다.


사진은 찾아 놓았고, 글을 추슬러야 할 텐데, 문득 한 꼭지가 눈에 뜨여서 손질을 해놓습니다. 2014년 7월에 쓴 글입니다. 이 글도 어느새 10해를 묵었네요.

.

.

2014.7.17.나무. 책집 단골 되기


 ‘책집 단골’은 아무나 될 수 없다고 한다. 책집을 자주 드나드는 사람은 ‘자주 오는 손님’은 될 수 있으나 ‘책집 단골’이라는 이름을 얻지는 못한다. ‘단골’은 어떤 책손한테 붙이는 이름일까? 글쎄, 나는 어느 책집을 두고도 나 스스로 ‘단골’이라고 느끼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큰고장을 떠나 시골에서 살아가니, 시골에서는 달포에 한 걸음씩 책집마실을 하기에도 만만하지 않다. 자주 드나들지 못하는 책집이기에 한 걸음을 하더라도 잔뜩 장만하기는 하지만, 단골은 ‘책을 많이 사들이는 사람’을 뜻하지 않는다.


 얼추 열다섯 해쯤 앞서인 1999년이었지 싶은데, ‘책집 단골’을 놓고 ‘책집에 자주 오는 아저씨’들이 주고받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서울 용산에 있는 헌책집 〈뿌리서점〉이었다. 그곳을 날마다 드나드는 아저씨가 꽤 많은데, 그분들이 서로 옥신각신 얘기를 하다가, 마지막에 이르러 서로 생각을 모두었다. 그분들이 말하는 ‘책집 단골’은 이렇다.


 ㄱ 서른 해 넘도록 드나들기

 ㄴ 오천 자락 넘게 장만하기


  어느 한 군데 책집에서 ‘단골’이라는 이름을 얻자면, 그 책집을 서른 해 넘게 드나들되, 그동안 책을 오천 자락 넘게 장만해야 한단다. 이 말을 듣고서 고개를 끄덕였다. 어느 한 군데 책집을 스무 해쯤 드나들었으면 아직 ‘단골’은 아니다. 스무 해 즈음 드나들었을 때에는 제법 자주 드나들었다고 할 만하지만, 아직 그 책집 속내까지 헤아리지는 못할 만한 해라고 하겠지. 자주 드나든다고 하더라도 책을 어느 만큼 장만해서 읽지 않는다면, 그 책집이 어떤 책을 다루고 어떤 책으로 오래도록 책집살림을 꾸리는가를 알지 못한다고 할 만하다.


  나한테는 아직 ‘단골이라 할 만한 책집’이 없다. 왜냐하면, 아직 서른 해 넘게 드나든 책집이 없기 때문이다. 가장 오래 드나든 책집은 1992년부터 2014년 올해까지 스물세 해를 드나든 곳이다. 이다음으로는 스물두 해를 드나든 곳이 있고, 스물한 해째 드나든 곳이 꽤 많다. 앞으로 일곱 해는 더 있어야 나한테도 ‘단골 책집’이 생긴다. 나는 마흔일곱 살이 되어야 비로소 ‘단골 책집’을 이야기할 수 있구나. ㅅㄴㄹ


.

.


사진은, 서울 용산 뿌리서점.

아마 2002년이나 2003년이었지 싶다. 설마 2004년일까. 필름더미를 뒤적이면 날짜를 알 테지만, 이제는 찍은 해가 가물가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