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1.
《그것은 교육이 아니다》
최준우 글, 스토리닷, 2023.6.17.
어젯밤부터 바람소리가 대단했다. 비는 그치고 구름은 걷히되, 바람으로 뒤덮는다. 밥을 차리고서, 아침에 책숲손님을 맞이한다. 부산에서 고흥으로 마실을 오셨다. 쌓은 짐을 살짝 추스르고서 등허리를 편다. 해가 질 무렵 바람이 잦아든다. 그렇지만 날이 다시 언다. 《그것은 교육이 아니다》를 지난해에 읽고서 한참 자리맡에 놓았다. 여러모로 뜻있게 태어난 책일 텐데, 책이름이 자꾸 걸린다. 우리말씨가 아니다. 우리말로 손보자면 “그렇게 안 가르친다”이다. “이렇게 배우지 않는다”이기도 하다. 오늘 우리는 일본스럽게 ‘학교·학생·선생’ 같은 이름을 쓰지만, 정작 배움터가 배움터라고 하기는 어렵다. ‘나라를 버티는 톱니바퀴’를 뽑아내어 길들이는 굴레이기 일쑤이다. 요새는 배움터마다 체육관에 도서관에 여러 특별교실을 잔뜩 짓는다. 그런데 이런 곳을 얼마나 제대로 쓸까? 마을에 깃든 배움터가 마을살림에 어떻게 이바지할까? 마을이 통째로 아이를 가르친다고들 으레 말하지만, 정작 이 나라 배움터는 마을하고 등진다. 아이들은 배움터하고 집하고 마을 사이를 잇지 못 하고, 길잡이(교사)도 이 대목은 시큰둥하다.‘학교버스·학원버스’를 몽땅 없애야 한다. 아이도 어른도 걸어서 다녀야 마을이 살아나고 서로 눈뜬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