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괜찮다(공연찮다) 2023.7.24.
‘나쁘지 않다’면
‘좋다’기보다는 ‘좀 나쁘다’야
‘좋지 않다’면
‘나쁘다’기보다는 ‘조금만 좋다’야
걱정하지 않기보다는
오늘 걸을 길을 본다
근심씻기 안 나쁘지만
같이 지을 꿈을 본다
그럭저럭 해도 안 나쁘겠지
썩 볼 만할 수 있겠지
그런데
네 마음은 어디에 있니?
내가 하려는 뜻을 돌아본다
네가 가는 까닭을 곱씹는다
서로 만나는 일을 생각한다
즐겁게 빚을 이야기 그린다
ㅅㄴㄹ
흔히 쓰는 ‘괜찮다’는 ‘공연하지 않다’를 줄인 말씨입니다. ‘공연하다(空然-)’는 “아무 까닭이나 실속이 없다”를 뜻합니다. ‘괜찮다·공연찮다·공연하지 않다’는 “그다지 나쁘지 않다”나 “그럭저럭 걱정할 일이 없다”를 가리킨다고 하겠습니다. 곰곰이 보면, 나쁘지 않으니 “나쁘지 않다”일 테고, 이는 “썩 좋다고 하기 어렵다”를 나타내는 셈입니다. 마음을 담는 말인데, ‘괜찮다’는 여러모로 돌리는 결입니다. 마음에 안 들지만, 마음에 안 든다는 티를 덜 내면서 “나쁘지는 않아” 하고 가볍게 손사래를 치고 싶은 결입니다. 그럭저럭 할 만한 일이란, 그다지 안 하고 싶지만, 해도 아주 나쁘지는 않으니까, 좀 참거나 견디면서 한다는 뜻입니다. 썩 할 만하지 않을 적에 억지로 참으면 오히려 덧나기 쉽습니다. “썩 할 만한” 일이 아닌, “할 만한” 일을 찾아야겠지요. 바로바로 드러내기가 수월하지 않은 자리라서 자꾸자꾸 참다 보면 차츰차츰 고단하고 지칩니다. 마음을 느긋이 두면서 즐겁게 나아갈 길을 찾아야지 싶습니다. 마음을 환하게 밝히면서 기쁘게 할 일을 품어야지 싶어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