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2.2.
《서점의 시대》
강성호 글, 나무연필, 2023.10.31.
올해에 새로 선보이는 《우리말꽃》이 집으로 온다. ‘숲노래 책숲’ 이웃님한테 한 자락씩 부치려고 넉줄글을 쓰고 글자루에 담는다. 어느 만큼 추슬러서 등짐에 지고서 나래터로 간다. 두 아이 손길을 받아서 일을 한다. 읍내에서 일을 마치고서 천천히 기스락숲을 걸을 적에 큰아이가 “비가 오면 흙냄새가 더 많이 올라오는 듯해요. 왜 그럴까요?” 하고 묻는다. 우리가 걷는 숲길을 이루는 흙이며 풀꽃나무이며 바람이며 구름한테 마음속으로 물어본다. ‘너희는 어떤 내음이니?’ “빗물은 흙을 씻어내고, 흙은 빗물한테 날숨을 내놓는데, 흙이 내놓는 날숨이 너희한테 이바지해. 보렴. 사람인 너희가 내놓는 날숨이 풀꽃나무를 살리지? 사람과 흙과 풀꽃나무는 서로 날숨들숨을 주고받으면서 푸르단다.” 하는 목소리가 어디선가 들려온다. 《서점의 시대》를 읽었다. 곰곰이 석 벌쯤 되읽었는데, 아무래도 아쉽다는 말부터 튀어나온다. 왜 책집지기를 더 찾아나서지 않고서 책을 썼을까? ‘학문적 성과를 거두는 문화역사 인문서 집필’이 아니라, ‘마을에서 조용히 책살림을 편 작은이웃 마음을 느끼고 읽어서 담는 글쓰기’를 하면 될 텐데. 책이나 글로 남은 자취는 덜 살펴도 된다. 헌책집 일꾼을 만났더라면 줄거리가 확 바뀌었으리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