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5.


《해협, 한 재일사학자의 반평생》

 이진희 글/이규수 옮김, 삼인, 2003.9.20.



큰아이가 아침 일찍 부엌을 비질하는 소리를 들으면서 걸레를 빤다. 아이 곁에서 마루를 훔친다. 빗자루가 지나간 자리는 걸레가 지나간다. 둘이서 바지런히 쓸고닦는다. 마루를 환하게 치운 뒤에는 몸을 씻고서 빨래를 한다. 마루깔개는 묵직하기에 석벌빨래를 한다. 등허리를 톡톡 두들기며 마당에 서자니 “꽉꽉! 끼룩끼룩!” 노랫가락이 퍼진다. 두리번거리다가 하늘을 보니, 우리 집 위로 오리떼가 둘 ‘ㅅ’을 그리며 날아간다. 쉰 마리쯤 된다. 낮 15시에 둘이서 읍내로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오늘은 유난히 부릉부릉 넘친다. 시골에 갈수록 사람은 줄고 쇳덩이는 는다. 《해협, 한 재일사학자의 반평생》을 한 자락 더 장만해서 새로 읽는다. 푸름이한테 읽힐 책을 꼽아 달라고 묻는 이웃님이 있으면, 첫째로 《아나스타시아 1∼10》을 들고, 《우리 마을 이야기 1∼7》을 둘째로 들고, 《해협》을 셋째로 든다. 어른이 읽기에도 속이 깊고, 푸름이가 우리 삶자락과 푸른별을 고루 헤아리는 눈썰미를 다스리는 길잡이로 삼기에 넉넉하다. ‘어른’이란 이름을 듣고 싶다면, 글을 쓴 이진희 님처럼 이야기를 여밀 줄 알면 된다. 들풀 한 포기를 헤아리면 된다. 들꽃 한 송이를 바라보면 된다. 아름길은 늘 우리 마음자락에서 길어올린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