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17.
숨은책 893
《世界文藝思潮史》
서라벌예술대학출판국 엮음
한국교육문화원
1955.12.20.첫/1962.4.10.4벌
고을이름인 ‘서라벌’은 우리말입니다. ‘서라벌’이 바뀌어 ‘서울’입니다. 두 낱말은 어떻게 해도 한자로 바꾸지 못 하니, 온통 한자가 춤추던 지난날에도 ‘서라벌·서울’만큼은 다들 한글로 적었는데, 요새는 ‘Seoul’처럼 쓰는 분이 부쩍 늘었어요. 우리나라에서 우리글만 써야 할 까닭은 없더라도, 뭔가 얼이 나간 듯해요. 스스로 새롭게 배울 적에는 스스럼없이 나누면서 누구나 수월하게 듣고 배우는 길이어야 아름다울 텐데요. 《世界文藝思潮史》는 “서울大學校 敎育大學院 1年 李裕桓” 님이 얼추 1962년에 손에 쥐고서 바지런히 익힌 꾸러미입니다. 다들 새카맣게 한자를 써야 배울 수 있던 무렵이요, 한자 없이 한글로만 글을 적으면 “넌 무식하구나!” 하고 놀리거나 따돌리던 때입니다. 그러나 1920년에도 1950년에도 1970년에도 한글조차 모르던 사람이 수두룩하고, 한자는 더더욱 몇몇 사람만 겨우 읽던 글씨입니다. 많이 알거나 잘 안다면, 아직 모르거나 적게 아는 사람 눈금으로 맞출 적에 어질어요. 어린이한테 어떻게 풀이하려는 셈일까요? 어린이는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할까요? 다 다른 말은 다 다른 마을에서 다 다른 사람이 지은 삶과 마음을 담는데, 높낮이로 가른 글은 굴레에 수렁으로 오래오래 흘러왔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