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화원 1 - 빛으로 바람으로
안승일 지음 / 지식서관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1.13.

사진책시렁 133


《高山花園》

 안승일

 숨은길

 2007.5.1.



  온누리는 어디나 꽃밭입니다. 그러나 갈수록 꽃밭이 사라집니다. 온누리는 늘 꽃밭이기에 사람도 뭇숨결도 어우러집니다. 그런데 갈수록 꽃밭을 잊으면서 메마르고 매캐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으레 먹는 쌀밥은 ‘나락꽃’입니다. 이웃나라에서 늘 먹는 빵은 ‘밀꽃’입니다. 쌀알 하나는 꽃 한 송이입니다. 밀가루를 이루기 앞서 밀알 하나도 꽃 하나예요. 우리는 누구나 꽃을 먹습니다. 꽃이 지고 난 뒤에 맺는 열매나 씨앗을 먹든, 바로 꽃을 먹든, 그야말로 꽃이 없으면 다 죽습니다. 《高山花園》을 가만히 넘겼습니다. 높메(고산)가 꽃뜰(화원)이라는 줄거리를 들려주려고 더없이 오래 깊이 다리품을 들였구나 하고 생각했으나, 여러모로 아쉬워요. 꽃은 높메뿐 아니라 들에도 바닷가에도 있어요. 시골 논밭에도 숲에도 있고, 서울 한복판이어도 돌틈이나 길바닥에 살몃살몃 올라옵니다. 가끔 서울마실을 하다가 “끝없이 밀려드는 사람바다 틈바구니”에서도 “밟히면서 올라오는 조그마한 들꽃”을 만나면, 문득 귀퉁이에 붙어서 조용히 쪼그려앉아서 한참 들여다봅니다. 먼먼 멧자락 꽃도 곱고, 우리 삶자리 어디에나 피고 지는 들꽃도 길꽃도 풀꽃도 곱습니다. 굳이 눈을 크게 안 떠도, 마음이 꽃빛이면 언제나 꽃을 알아보고 담을 수 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