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야생조류 길잡이 물새 자연탐사 길잡이 4
박종길.서정화 지음 / 신구문화사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1.6.

읽었습니다 291



  날마다 새를 바라보고 만나는 아이들은 나날이 새롭게 새를 알아가고 마음에 담습니다. 깃빛과 몸짓으로도 익히고, 날갯짓과 노랫가락으로도 익히며, 먹이와 어울림으로도 익히더니, 암수가 다른 결을 눈여겨보고 알아차립니다. 다만 아이들은 새이름을 잘 알지는 못 해요. 이때에 아이들한테 얘기합니다. “먼먼 옛날 옛적 사람들은 새를 눈여겨보거나 지켜본 뒤에 다 다른 빛과 결과 숨을 헤아려서 스스로 이름을 붙였단다. 너희가 늘 지켜보고 마주하는 결을 고스란히 이름으로 담으면 돼. 딱새가 왜 딱새이겠니? 박새가 왜 박새일까? 참새는 참새이고 까치는 까치이잖니.” 그래도 새를 다룬 책을 바지런히 챙겨서 아이들한테 건넵니다. 아이들은 《한국의 야생조류 길잡이, 물새》를 슥 넘기다가 돌려줍니다. 이 책으로는 새를 알 수 없다더군요. 다 다른 새가 어떤 한살림인지 안 짚고 ‘갈래짓기’로만 뭉뚱그린다지요. 가만 보면, 멋지게 찍으려 하고, 새집을 함부로 건드린 모습마저 보입니다.


ㅅㄴㄹ


《한국의 야생조류 길잡이, 물새》(서정화·박종길, 신구문화사, 2008.4.15.)


+


5월에 1개의 알을 낳는다

→ 5월에 알을 하나 낳는다

46쪽


포란 기간은 50∼54일이다

→ 알품이는 쉰∼쉰나흘이다

46쪽


어류와 연체동물을 먹는다

→ 물고기와 말랑이를 먹는다

47쪽


전체적으로 청색 기운이 있는 회흑색이다

→ 거의 푸른 기운이 있는 잿검정이다

6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