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12.16.


《샌드 카운티 연감》

 알도 레오폴드 글/이동신 옮김, 이다북스, 2023.2.9.



새벽에 옆마을로 걸어간다. 읍내로 건너간다. 부산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탄다. 저녁에 금정구 오륜동으로 갈 일이 있다. 사상에서 버스를 내려 전철로 갈아타고서, 서면 〈알라딘 중교샵〉을 살짝 들른다. 다른 책집에 들를 짬은 없다. 서면은 사람도 많고 잿집도 높은데, 이런 한복판 책집에 사람들도 많이 드나든다. 서면 같은 데에 여느 마을책집이 서기는 어렵겠지. 얼마 앞서 들른 마을책집에서 《샌드 카운티 연감》을 집다가 “자연은 스스로 조화롭고 이제 우리의 결정만 남았다” 같은 옮김말에 고개를 절레절레하고서 내려놓았다. ‘서울대 영문과 교수’가 옮긴 글자락이 이만큼이라면, 우리나라는 얼마나 서글픈가. 또는 옮기는 일은 아무나 하면 안 되는구나. 예전에 나온 “모래땅의 사계”나 “모래 군(郡)의 열두 달”을 떠올린다. “모래밭 열두달”이나 “모래밭 한 해”처럼 어린이도 알아볼 만하게 책이름을 붙이고서 글줄을 풀어내어야 비로소 글바치(지식인·작가·전문가·기자·교수)이리라 본다. 어느 날 우리 집 큰아이하고 곁님이 “옮기려는 사람부터 스스로 글을 못 알아보았기 때문에 얄궂은 옮김말씨를 쓰겠지요. 그런데 못 알아들었으면 알아들을 때까지 다시 읽고서 옮겨야 하지 않나요?” 하더라. 이 말씀이 옳다.


#A Sand County Almanac And Sketches Here and There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