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디 워〉


 어떤 분들은 《미국의 송어낚시》(중앙일보사)라는 소설이 훌륭하다고 합니다. 하도 그런 말이 많아서 저도 한 번 사서 읽어 봅니다. 흐흠, 저는 이 책을 읽으며 참 지루합니다. 책장이 잘 안 넘어갑니다. 그예 읽다가 읽다가 지쳐서 읽기를 그만두고 책꽂이에 꽂아 둡니다.

 몇 해 앞서부터 《파브르 식물기》(두레)를 야금야금 읽습니다. 한꺼번에 다 읽기에는 아쉬워서. 성철 큰스님 말씀모음(장경각)을 지난주부터 한 권씩 사서 읽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거의 눈길을 안 둔 책이었는데, 예전에 눈길을 두며 이 책을 읽었다면 얼마나 속뜻을 잘 읽어냈을까 싶군요. 이제 와서 읽으니 딱 좋습니다.

 며칠 앞서 《안톤 카이투스의 모험》(내일을여는책)을 다 읽었습니다. 책을 덮으며 후유 한숨이 나옵니다. 아이들을 생각하고 헤아리는 마음이 바다처럼 깊고 너를 때라야 비로소 이만한 작품을 온몸으로 써낼 수 있네요. 일본 교사가 쓴 《교실 일기》(양철북)를 읽으며, 야누쉬 코르착 같은 사람은 나라마다 겨레마다 다 다른 자리에서 다 다른 모습으로 아이들과 부대끼고 있구나 하고 느낍니다. 우리 나라에는 어떤 야누쉬 코르착이 있을까요.

 정치 이야기를 좋아하는 분한테는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삼인) 같은 책이 피와 살이 될 수 있을까요. 그저 그런 책이 될는지, 아니면 썩 읽고 싶은 마음이 안 들 책일는지. 다가오는 대통령 선거에 한 표 권리를 써야 하나 말아야 하나 갈팡질팡입니다. 지금으로서는 ‘최선도 차선도’ 보이지 않습니다. 더욱이, 한 표 권리는 ‘차선이 아닌 대통령이 되어야 할 만한 진짜 대통령감’한테 쓰고 싶습니다. 죽는표가 어디 있습니까.

 《슈베르트》(신구문화사)를 읽으면서 올해 제 나이 서른셋이란 얼마나 많은 나이냐고, 지금 나는 얼마나 내 하고픈 일을 하며 살고 있느냐고 묻게 됩니다. 《무식하면 용감하다》(행복한만화가게)를 읽는 동안 ‘똑똑하고 용기 없기’보다는 ‘똑똑하지 않더라도 용기 있게’ 사는 편이 낫다고 스스로 되묻습니다.

 《광고와 사진 이야기》(눈빛)를 읽으며, 이만한 줄거리로도 사진 이야기를 써내는 세상이라면, 나도 사진 이야기를 다루는 책을 쓸 수 있겠네 하고 주먹을 불끈 쥡니다. 《곤혹한 비평》(작가들)을 읽는 내내 ‘문학을 좋아하는 분들이 이 책을 써낸 사람 이름을 알까? 김현, 김우창, 김윤식, 김병익 같은 사람들 비평은 읽어도 이 책을 써낸 사람 비평을 읽으려 할까?’ 하는 물음표가 그치지 않습니다.

 《슬픈 미나마타》(달팽이)를 읽으며 가슴이 저릿저릿하고 눈물이 핑 돕니다. 하지만 일본에서도 ‘미나마타’ 역사를 숨기려 한다는군요. 생각해 보면, 우리 나라에도 ‘온산병’이라는 공해병이 있습니다만, ‘온산병’이 무엇인지 ‘온산’이 어디에 붙은 마을인지 아는 분이 몇이나 될는지.

 영화 〈디 워〉를 보았습니다. 보름쯤 되었지 싶습니다. 영화를 보면서 참 좋았습니다. 재미있어서 웃기도 하고 엉성해서 웃기도 했습니다. 후줄근한 연기와 짜임새없다고 느껴지는 줄거리였지만, ‘더 깊이 무엇인가 생각하기’보다는 ‘그냥 재미나게 영화 하나 보며 즐겁게 살자’ 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디 워〉는 〈디 워〉였고, 〈티라노의 발톱〉은 〈티라노의 발톱〉이었으며, 〈우뢰매〉는 〈우뢰매〉였습니다.

 영화 〈디 워〉를 보고 싶으면 보고, 보고 싶지 않으면 안 보면 되는데. 영화를 보고 나서 좋았다면 그 좋은 마음을 잘 간직하고, 보고 난 느낌이 영 꽝이었다면 아쉬움과 모자람을 잘 곰삭이면 될 텐데. 하지만 어떤 책을 주머니돈 털어서 사서 읽었는데, 글쓴이 생각이나 책 짜임새가 참 후줄하고 형편없었을 때에는, 남들이 이런 책을 사서 보느라 헛돈과 헛시간 날리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 비판 어린 글을 쓸 수 있습니다. 한편, 내가 느끼기에 후줄근하고 형편없는 책이라 해도, 이 책 하나를 보며 가슴이 벅차거나 따스해지는 분도 있겠지요. 심형래 감독은 다음에 어떤 영화를 찍고 우리 앞에 찾아올까요. (4340.8.23.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