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11.30.
《새벽편지》
정호승 글, 민음사, 1987.9.30.
낮에 고흥읍으로 간다. 한 시간을 기다려 여수로 건너간다. 길손집에 깃들어 글을 좀 쓸까 싶었으나 일찍 곯아떨어진다. 캄캄한 밤에 깬다. 날이 꽤 쌀쌀한 탓인지 오늘은 길손집 둘레가 안 시끄럽다. 《새벽편지》를 되읽어 보았다. 스물 몇 해 앞서도 오늘도 똑같이 느낀다. 어쩐지 삶 둘레에서 맴도는, 아니 삶으로 스미지 않고서 붓대로 꾸며내는 글이지 싶다. 스스로 살아낸 하루를 돌아보면서 차곡차곡 여미면 저절로 이야기가 태어나게 마련인데, 스스로 안 산 모습을 어깨너머로 흘깃흘깃 보고서 글로만 꾸미려 하면, 언뜻 예쁘구나 싶은 글을 빚을는지 모르나, 빈 알맹이는 그저 빌 뿐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곳에서 저마다 어떤 낱말로 마음을 그리면서 나누는 하루일까. 허울을 쓰면서 남들이 예쁘게 봐주기를 바라는 글을 쓰거나 옷을 입거나 쇳덩이(자동차)를 몰아야 하는가? 스스로 이 별을 사랑하면서 하루를 짓고 노래할 수 있을까? 올봄부터 틈틈이 쓰는 ‘내가 안 쓰는 말’이라는 노래꽃(시)을 돌아보면서 옮겨적는다. 이튿날 아침에 여수 성산초등학교 3학년 어린이한테 건넬 글자락이다. ‘둘레(사회)에서 쓰는 말’을 내려놓으면 삶말이 깨어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