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3.12.12.

숨은책 879


《한힌샘 연구 3》

 한힌샘 주시경 연구 모임 엮음

 한글학회

 1990.11.30.



  우리한테는 우리글이 있습니다. 우리글 이름은 ‘한글’입니다. 우리가 쓸 글이 태어나기까지도 까마득했지만, 이 글이 태어난 뒤에 사람들이 비로소 배우기까지도 아득했습니다. 나라에서 중국글을 섬기던 무렵에는 힘바치·이름바치·돈바치가 중국글로 사람들을 억눌렀는데, 일본이 총칼로 쳐들어온 무렵부터 일본글하고 일본 한자말이 춤추었어요. 1945년 뒤에는 드디어 ‘한글로’ 마음과 뜻을 펴는 길을 여는데, 막상 우리글을 품을 수 있던 그무렵부터 오늘날까지 ‘우리말을 한글로’ 담는다고는 여기기 어렵습니다. 중국 한자말이나 일본 한자말이나 바깥말(외국말)을 ‘무늬만 한글로’ 옮기는 얼거리예요. 《한힌샘 연구 3》을 읽으면서도 갑갑하더군요. 우리나라에서 오히려 주시경 님을 팽개치거나 파묻을 만큼 엉터리이기도 하지만, 정작 이런 줄거리를 들려주는 이들조차 ‘무늬만 한글로’ 씁니다. 우리말을 우리글로 담는 길은 언제 열 셈일까요? 무늬에만 한자가 없대서 우리말이지 않습니다. 속살과 알맹이와 씨앗이 우리 숨결일 적에 비로소 우리말입니다.


독일인 언어학자 킨스키 교수 밑에서 공부하던 쉴러 박사는 한국의 주시경이 훌륭한 학자임에도 본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 주시경은 또 한문 글자를 쓰는 데서 오는 해독을 절감하고서 나라가 바로 잡히려면 한문 글자를 버리고, 한글만을 써야 할 것을 부르짖고 이를 실천에 옮겼다. 그는 우선 자기 아이들에게 ‘봄메·새메·한메’ 등 우리말 이름을 지어 주며, 아내에게도 한글을 가르쳤다. (6, 13쪽)


+


그것이 민중을 의식화·주체화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사람들을 깨우고 일으켰으니 뜻깊다

→ 사람들이 배우고 일어났으니 뜻있다

5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