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햇볕받이 2023.10.14.흙.



해를 받기에 모든 풀꽃나무가 살고 자라. 그늘진 곳에서 살고 자라는 버섯이라지만, 햇빛을 바로 받아들이지 않을 뿐, 다른 풀꽃나무가 받거나 튕기는 볕살을 그늘진 데에서 부드럽게 맞이한단다. 버섯은 볕바라기가 아닌 듯하면서도 볕바라기야. 볕이나 빛이 바로 드는 곳에서는 삶죽음이 고요히 흐르지 않아. 버섯은 숲이 가만히 잠들고서 씩씩하게 깨어나도록 잇는 길목을 맡아. ‘이음잡이·이음길잡이’라고 하겠지. 바다밑에서 살아가는 뭇숨결도 매한가지야. 부드럽고 잔잔하게 퍼지는 기운으로 바다가 새롭게 ‘나고지는’ 길을 잇는 몫이란다. 모든 ‘바닥’은 ‘맨끝’이면서 ‘맨처음’이거든. 바닥을 쳐야 솟아. 바닥으로 고꾸라지기에 바닥부터 일어서. 바닥을 이루는 바다란 바탕이면서 밭이지. 사람이라는 숨결은 스스로 어느 바닥에 설까? 스스로 어떤 바탕을 품고 어떤 밭을 지을까? 바다라는 마음과 눈과 넋을 품는다면, 이 땅에서 바람소리를 바람말로 알아들으면서 바람춤을 펴겠지. 해를 꺼리거나 등지면 살가죽이 죽어. 해를 잊다가 잃으면 뼈가 삭아. 해를 모르거나 안 배우면 마음이 메말라. 햇볕받이를 하는 하루를 살아가기를 바라. 아침에 낮에 저녁에 다 다르게 드리우는 해를 머금기를 바라. 너는 네가 바라보는 곳에서 스스로 북돋아. ‘허깨비’를 쳐다보느라 헛심을 쓰거나 헛바람에 사로잡히기도 하겠고, ‘허울’을 뒤집어쓰느라 속알이 텅 비기도 하겠지. 아프거나 앓을 적마다 해를 그리고 떠올리렴. 해바라기로, 비바라기로, 별바라기로, 숲바라기로, 새바라기로, 사랑바라기를 스스로 펴면서 반짝반짝 따뜻따뜻 바꾸어 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