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11.7.
《희망을 새긴 판화가 오윤》
성완경·허진무 글, 나무숲, 2005.12.30.
새벽길을 걷는다. 차츰 밝는 하늘을 느낀다. 소매 있는 옷을 걸쳤지만 “안 춥냐?”고 묻는 어린이를 마주한다. “스스로 춥다는 마음을 심으면 춥다”고 들려준다. 요새는 글붓집(문방구)을 찾기 매우 힘들다. 배움터 곁에서 글붓집이 사라졌다. ‘다이소’가 글붓집 노릇을 한다. 여수에서 순천으로 건너와서 종이를 사러 한참 걷고, 다시 한참 걸어서 〈책방 심다〉를 들른다. 웬 경찰버스 여럿이 골목까지 들어찼다. 뭐지? 그무렵 ‘꼭두지기 곁님’이 ‘순천 아랫장’ 나들이를 했다더구나. 집에 닿아 폭 쓰러진다. 《희망을 새긴 판화가 오윤》을 읽는다. 진작 장만해 놓고서 거의 열 해쯤 묵혔다. 칼노래를 새기기도 했으나, 바탕은 언제나 들노래요 흙노래요 살림노래요 시골노래였던 오윤 님이라고 느낀다. 모든 사람이 ‘너희 힘꾼’처럼 칼을 쥐고서 확 베어넘길 수 있다는 하늘빛을 그림으로 담아낸 분이라고 느낀다. 그런데 ‘희망’이라? 다들 이 한자말을 그냥그냥 쓰는 듯한데, 우리말은 ‘바라다’이다. ‘바라’기에 ‘바람’으로 거듭난다. 바람은 하늘을 파랗게 덮는 숨결이다. 우리가 바라보기에, 바람을 품고 바다를 안으며 밭을 짓고 바탕을 깨닫고, 아직 ‘바보(밥보)’일지라도 넉넉히 어깨동무하는 밝은 넋이게 마련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