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버스삯 : 시골에서는 아흔 살 할매도 버스를 타려면 온돈을 치러야 한다. 서울(도시)에서는 어떤가? 버스나 전철을 그냥 탄 지 한참 되었다. 요새는 시골에서 어린이나 푸름이(청소년)한테 버스삯을 50원이나 100원만 받는다. ‘시골 어린이 50원 버스’하고 ‘시골 푸름이 100원 버스’는 차츰 큰고장으로 번진다. 머잖아 서울에서도 ‘어린이·푸름이 50원(또는 100원) 버스’로 바뀔 만하리라 여긴다. 사이에 낀 스무 살부터 예순 살에 있는 사람들은 고스란히 온돈을 치른다. 아니, 덤터기를 쓴다고 여길 만하다. 그런데 스물∼서른다섯 나이라면 ‘젊은이(청년)’라 여겨, 나라에서 여러모로 살림돈을 받쳐준다. 요즈음은 ‘군대 사병 달삯 200만 원’에 이르는 때인데, 예전에 군대란 곳에서 ‘사병 달삯 1∼3만 원’을 받고서 죽을고비를 겨우 넘기고 살아난 사람들은 꾸역꾸역 일을 해서 낛(세금)을 바치기만 하는 얼거리로 여길 수 있다. 2023년으로 쳐서, ‘마흔∼예순 나이’에 낀 사람들은 배움터(초·중·고등학교) 열두 해에 걸쳐 날마다 흠씬 두들겨맞으면서 자라야 했고, 갖은 가시밭길을 맨몸으로 헤매야 했는데, 순이는 순이대로 웃사내질(남성 가부장권력)에 시달렸고, 돌이는 돌이대로 ‘군대와 회사에서 위계질서 폭력’에 시달렸다. 그나저나 시골버스이건 도시버스이건, 어떻게 ‘50원 버스’나 ‘100원 버스’나 ‘할매 할배 0원 버스’를 할 수 있는가? 바로 우리가 낸 낛(세금)으로 버스회사에 이바지돈(보조금)을 매우 많이 주기 때문이다. 곰곰이 따지면, 우리가 여태 버스회사에 우리 낛으로 치른 이바지돈만으로도, 모든 사람이 ‘버스삯 안 내고 다닐 만큼’ 넉넉하다. 버스회사에서 이바지돈을 어떻게 썼는지, 또 나라(지자체)에서 버스회사에 이바지돈을 어떻게 보태었는지, 제대로 밝히는 글자락이 드물거나 없다. 버스도 지하철도 모든 사람이 ‘돈을 안 내고 타도 될’ 만하다. 줄줄이 새는 돈을 바로잡으면 된다. 줄줄이 새는 돈을 몰래, 또는 뜬금없이 가로채는 무리를 걷어치우면 된다. 우리나라는 이미 ‘기본소득·기본복지’를 얼마든지 제대로 할 밑돈이 넉넉하지만, 이 밑돈을 밑돈으로 안 쓰니까 어지럽다. 뒷돈이나 몰래돈으로 바꾸니 자꾸자꾸 나이로 뭘 가르면서 서로 미워하는 틀이나 담벼락을 쌓고 만다. 2023.11.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