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9 고르는
마을책집으로 책마실을 자주 나서지만, ‘고르기’는 하지 않습니다. 저는 책을 골라서 사지 않습니다. 저는 책을 읽고서 삽니다. 어느 마을책집으로 가든, 늘 이 마을책집에 있는 책을 살펴서 장만했을 뿐입니다. 저는 책집에 미리 여쭈어 어느 책을 갖다 놓아 주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문득 어느 책이 떠오른다 하더라도 그 책이 마을책집에 있으면 그자리에서 장만하고, 없으면 잊거나 다른 마을책집에 가서 장만합니다. 책집마실을 할 적에 ‘고르기(선택)·시키기(주문)’를 아예 안 하는데요, 책집마실은 “두고두고 되읽을 책을 찾아서 품으려는 길”입니다. 책집에 서서 읽고서 마음을 울리면 ‘글쓴이가 못마땅하건 말건 따질 일이 없’습니다. 마음을 안 울리는 책이라면 ‘글쓴이를 좋아했고 꾸준히 챙겨 읽었’어도 굳이 장만하지 않아요. 손수 사랑을 담기에 한결 즐거이 우리 몸에 들어올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밥도 바람도 물도 책도 글도 이야기도 매한가지입니다. 누가 “그런 책을 왜 읽어?” 하고 따지면 “후줄그레한 책을 읽어서 잘못했습니다. 다만 저는 낱말책을 쓰는 터라, 모든 사람들이 쓰는 온갖 말을 살피려면 모든 책을 사랑해야 해서요.” 하고 절을 합니다. 고르고 싶지 않아요. 읽고 새기고 새길을 지을 뿐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