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발바닥은 2023.10.22.해.



몸을 땅에 세우는 받침대가 ‘발’이야. 받치는 바탕이니 ‘발’이란다. 푸른별에서 ‘바다’는 모든 숨결을 받치는 바탕이지. 이러면서 모든 숨결을 살찌우는 ‘밭’인 바다란다. 모두 ‘받아’들이는 바다야. 뭍에서 흘러오는 물도, 물에 섞인 부스러기도, 죄다 갯벌을 거쳐서 바다가 ‘받아’안는단다. 바다가 받아들이기에 모든 숨결이 푸르게 빛나. 바다는, ‘소금을 안은 물방울’이 하나로 이룬 하늘밭이라고 여길 만해. 소금을 한 톨씩 안은 물방울이라서 바닥에 있단다. ‘소금’이란, 숨결을 살리는 빛씨이지. 이 빛씨를 머금으니 한결같이 눈부시게 튼튼하단다. 바닷방울은 늘 소금을 품은 하늘밭으로 흐르다가 문득 소금을 내려놓는단다. 애벌레가 날개돋이를 하듯, 바닷방울은 ‘바다갈기(물갈기)’를 하려고 겉몸을 내려놓고서 아지랑이가 되어 하늘로 올라. 바람으로 속몸을 씻어 하얗게 뭉치더니 새롭게 놀듯 땅으로 날아내리지. 너희 발을 바다랑 나란히 놓고서 헤아려 보겠니? 바닷물은 늘 출렁이며 어디이든 가고 무엇이든 품어. 너희는 발을 늘 움직이며 서거나 앉거나 눕거나 걷거나 뛰거나 달려. 발바닥으로 땅바닥을 척척 디디면서, 땅에서 올라오는 기운을 머금어. 손바닥으로 바람을 살살 가르면서, 하늘에서 찾아오는 기운을 맞이해. 발바닥은 이 푸른별을 오롯이 느끼기에 받침판 노릇이야. 다리는 받침판을 타고서 들어오는 땅빛이 몸으로 퍼지도록 잇는 길이야. 넌 어느 곳에 보금자리를 틀어서 이 별을 느끼니? 가장 좋은 땅은 없어. 너희가 발로 선 곳은 모두 푸른별 한복판을 가리키며 뻗는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