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7.8.


《잡초는 없다》

 윤구병 글, 보리, 1998.5.15.



새삼스레 내리는 비를 본다. 가늘게 오다가 굵게 온다. 늦은낮에는 비구름이 걷히고 해가 난다. 파랗게 퍼지는 하늘 둘레로 깃털처럼 가볍게 날갯질하는 구름결을 바라본다. 우리 책숲에서 비새는 곳이 늘었다. 얼른 지붕에 덩굴풀이 퍼져서 틈을 막아 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며칠 앞서부터 마을 여러 곳에 “우리 면은 마을발전기금을 받지 않겠습니다”라 적은 걸개천이 나부낀다. 뭘까? 뭔데? 저 걸개천은 ‘이제부터 안 받’으면서 ‘텃힘’을 안 부리겠다는 뜻인가? ‘이제까지 실컷 받’았으니 굳이 더 안 받아도 배부르다는 뜻일까? 그렇다면 ‘이제까지 받은 돈을 뱉’겠다는 뜻인가, 아니면 여태 받은 돈을 뱉기는 어렵다는 뜻인가? 《잡초는 없다》를 되읽었다. 1998년 여름에 처음 읽을 적에는 ‘이렇게 배움살림을 말하는 분이 있네?’ 싶으면서도, 어딘가 께름했다. 우리 삶터(사회)로 보자면 틀림없이 “잡초는 있다”이다. 오른켠만 그놈(권력자)이지 않다. 왼켠도 그놈(권력집단)이다. 오른켠도 왼켠도 사람을 ‘화초·약초·잡초’로 가른다. 어느 켠에도 안 서면서 어린이를 바라보고 스스로 어른으로 서자면 ‘草’가 아닌 ‘풀’을 볼 노릇이고, “풀이 있다”고 속삭이면 된다. 온누리 모두 풀이다. 우리 스스로 들풀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