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6.14.
《바다 생물 콘서트》
프라우케 바구쉐 글/배진아 옮김, 흐름출판, 2021.7.15.
낫을 쥐어 풀을 긋다가 째째째째 소리가 나서 올려다보니, 새끼 제비를 이끌며 하늘을 가르는 어미 제비가 훅 지나간다. 얼추 일고여덟 마리 같다. 낮에 읍내로 저잣마실을 하며 수박을 장만한다. 두 아이가 마중을 나와 짐을 받는다. 이동안 제비 여덟 마리가 우리 집 앞 전깃줄에 나란히 앉아서 노래했단다. 별이 가득한 밤이다. 개구리가 노래하는 밤이다. 《바다 생물 콘서트》를 읽었는데 어쩐지 살갗으로 와닿지 않는다. 바닷가에서 살며 바다빛을 늘 품는 사람들 스스로 바다숨결을 글로 옮기면 얼마나 눈부실까? 그런데 한글로 나온 책을 보면, 하나같이 바다빛하고도 흙빛하고도 바람빛하고도 풀빛하고도 멀다. 풀잎이나 나뭇잎을 보면서 ‘풀빛·잎빛’이라 말하는 사람이 너무 적다. “바다를 노래한다”처럼 말을 하지 못 하는 마음으로 바다를 읽을 수 있을까? ‘바다노래’처럼 단출히 말을 여미지 못 하는 눈길로 이웃한테 다가서서 어깨동무하는 길을 열 수 있을까? ‘말잔치’가 지나치다. ‘말살림’이 사그라든다. 우리 스스로 갯벌에 무슨 짓을 했는지 돌아보자. 전남 고흥 갯벌은 그야말로 ‘꿀밭(굴 + 밭)’이었다지만, 다 말아먹었다. 새만금 꼴을 보라. ‘꿀(굴)’을 버린 이들이 저지른 ‘꼴(골)’이란 아주 볼썽사납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