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63 소음 2023.5.27.
까치 까마귀 참새 비둘기
늘 둘레에서 이야기해
쏙독새 박새 할미새 딱새
언제나 곁에서 속삭여
물결치는 바다에 서면
물방울소리 가득 일렁여
비내리는 들을 걸으면
빗방울소리 온통 뒤덮어
하늘하고 땅 사이에는
바람이 흐르면서 분다
너하고 나 사이에서는
마음이 오가면서 수다
눈길 틔울 수 있기에
눈망울 열 수 있으니
눈빛 깨울 수 있어서
두근두근 두런두런 어울려
ㅅㄴㄹ
예전에는 ‘소음’ 같은 말을 안 썼습니다. 예전에는 집을 겹겹이 높이 쌓는 일이 없었어요. 나즈막한 울타리나 담으로 가볍게 두르기는 했어도, 모든 집이 어깨를 나란히 하듯 올망졸망 어울렸습니다. 어우러지는 집이 모인 마을은 곧잘 왁자지껄할는지 모르나, 소리가 하늘로 뻗으면서 사그라듭니다. 무엇보다도 새랑 풀벌레랑 개구리가 늘 마을이며 보금자리에서 노래했기에 ‘사람 말소리’가 듣그럽거나 따갑지 않아요. 바람이 흐르는 소리에 비가 들이치는 소리도 우리 마음을 다스리거나 달래었습니다. 그러나 요새는 ‘틈새소리·사잇소리·칸소리’라 여길 ‘층간소음’으로 고단한 사람으로 넘실거립니다. ‘소음(騷音)’은 “불규칙하게 뒤섞여 불쾌하고 시끄러운 소리”를 가리킨다지요. 잘 봐요. 새노래가 없으니 시끄럽습니다. 풀벌레랑 개구리가 함께 우렁차면서 싱그러이 노래하는 길이 막히거나 사라졌기에 떠들썩합니다. 모든 쇳소리는 귀를 찢듯 날카로워요. 북새판이지요. 우리가 ‘말소리’에 ‘숨소리’를 누리려면 ‘숲소리’에 ‘들소리’를 되찾아야지 싶습니다. ‘물결소리’에 ‘바람소리’에 ‘빗소리’를 머금으면 귀가 안 아프겠지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