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6.29.
《주업은 농사 부업은 의사》
손세호 글, 심다, 2021.8.15.
우리 책숲에 고인 빗물을 치운다. 빗물을 치우고서 책꽂이를 옮긴다. 몇 해 동안 차곡차곡 쌓은 책이며 짐을 천천히 치운다. 요 닷새는 내내 비가 오면서 더위가 사라졌다만, 책더미랑 책꽂이를 옮기고 나르니 땀이 쏟아진다.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저녁하늘에 파란빛이 어린다. 구름이 걷히려나. 오늘은 별을 보려나. 그러나 밤에 다시 빗물이 듣는다. 《주업은 농사 부업은 의사》를 읽었다. ‘주업·부업’에 ‘농사·의사’로 잇는데, 왜 ‘業·事·師’라는 한자에 스스로 옭아야 할까? ‘일’을 하는 ‘사람’으로 살아가면 된다. ‘일’이란, 물결이 ‘일다’라 하듯, 스스로 ‘일으키는’ 몸짓을 나타낸다. 사람이란, 숲이며 새랑 풀꽃나무에 사람 사이에서 사랑으로 살림을 지어서 살아가는 씨앗(숨결)을 나타낸다. 겉이름으로 꾸미려 들면 ‘業·事·師’가 될 테지. 씨앗을 보자. 어느 씨앗도 스스로 안 꾸민다. 씨앗은 그저 모든 이야기를 담아서 숨결을 잇는다. ‘일’은 ‘잇다’에 ‘있다’에 ‘이다’이기도 하다. 그저 투박하다 싶은 낱말 하나라지만, 바로 이 수수한 말씨 하나로 모든 삶을 바꾸고 일구고 가꾸고 짓고 나눌 수 있다. 말글을 꾸미거나 치레하면 삶도 허울로 흐른다. 말글을 짓기에 삶을 지어 사랑을 편다.
ㅅㄴㄹ
전원주택에 살면
→ 시골집에 살면
→ 꽃밭집에 살면
265쪽
이 땅 위에 나 혼자 사는 것이 아니고
→ 이 땅에 나 혼자 살지 않고
265쪽
닭장을 들락거리며 닭 사료를 먹고 간다
→ 닭우리를 들락거리며 모이를 먹고 간다
27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