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6.1. 반하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누리책집에서만 책을 산다면, 등허리나 팔다리나 종아리나 허벅지가 결릴 일이 하나도 없습니다. 누리책집에 올라오는 책만 사더라도 우리가 읽을 책은 차고넘칠 만합니다. 그러나 모든 책을 누리책집에서만 못 만납니다. 낱말책(사전)은 모든 말을 다루는 꾸러미이기에, ‘등록된·검증된·정리된·정식’이라는 자리에 깃들지 않은 ‘홀가분한·즐거운·사투리·살림말’이라는 자리를 돌아보려고 온나라 마을책집을 돌아다닙니다.


  말을 알려면 마음을 알아야 하고, 마음을 알려면 마을을 읽어야 하고, 마을을 읽으려면, 마을을 감싼 들숲바다를 읽어야 하고, 들숲바다를 읽으려면 들숲바다를 이루는 해바람비를 품어야 하고, 해바람비를 품으려면 스스로 사랑하며 살림을 짓는 하루를 살아야 합니다. 스스로 사랑하며 살림을 짓는 하루란, 아이 곁에서 어른이자 어버이로서 오늘을 노래하는 놀이일 적에 누구나 스스럼없이 누려요.


  이러다 보니, 작은 헌책집과 새책집을 찬찬히 찾아다니면서 ‘누리책집(인터넷서점)에 없는 책’을 등짐 가득 마주하면서 ‘우리가 저마다 다르게 살아가면서 다르게 나누는 말’을 읽습니다. 《밑말 꾸러미》가 막바지에 이르자 ‘이제 그야말로 마지막으로 깁고 손보면서 채울 낱말’을 헤아리는데, 인천·수원을 돌고서 서울을 거쳐 고흥으로 돌아오는 길디긴 길에 ‘반하다’가 벼락처럼 꽂혔어요.


  아차, ‘밝다·바다·바람·밭’이랑 ‘맑다·마음·말·마을’이랑 ‘물·비·빛·빚·비우다·비다’ 사이에 ‘반하다·반갑다’를 빠뜨린 줄 깨닫고는, 지난밤과 새벽과 아침을 가로지르면서 ‘반하다·반갑다’를 새록새록 추슬러서 《밑말 꾸러미》에 보탭니다. 요새는 ‘반하다’나 ‘반갑다’라는 낱말을 혀에 얹는 이웃을 거의 못 봅니다. 으레 ‘매혹·매료·홀릭’이나 ‘환대·환영’ 같은 말씨를 쓰더군요. 한자말이나 영어는 안 나쁩니다만, ‘반하다·반갑다’처럼 오래되고 수수한 말씨를 잊는 마음에는 ‘밝음·바다·바람·하늘빛’이라는 숨결이 깃들 틈이 없어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