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자의 아침 문학과지성 시인선 437
김소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5.23.

노래책시렁 333


《수학자의 아침》

 김소연

 문학과지성사

 2013.11.11.



  사람사이(인간관계)란, 멀다고 안 나쁘고 가깝다고 안 좋습니다. 그저 멀거나 가깝습니다. 붐비는 서울을 좋아할 수 있고, 한갓진 시골을 반길 수 있습니다. 다 다른 삶은 다 다른 삶터에서 태어납니다. 술 한 모금을 마셔야 속내를 털어놓을 수 있고, 언제나 스스럼없이 수다를 펼 수 있습니다. 북적이는 서울에서 숱한 사람을 마주하며 일할 수 있고, 혼자 작은칸에서 조용히 일할 수 있어요. ‘사람’이라는 우리말은 ‘사이(새)’하고 말밑(어원)이 같습니다. 눈에 보이거나 안 보여도 사람은 늘 둘레에 있고, 우리는 뭇사람 사이에 있어요. 서로서로 어떤 사이로 ‘일’을 하며 만날까요? 《수학자의 아침》을 읽었습니다. 뭔가 ‘학(學)’을 하는 이들은 ‘자(者)’를 붙입니다. 때로는 ‘가(家)’나 ‘사(師)’를 붙이더군요. 사람으로서 ‘사람’을 뜻하는 ‘이’를 붙이는 이웃은 드물어요. 우리말로 ‘꾼·꽃·님·씨·지기’를 붙여 볼 만하기에, 서로 일꾼·일꽃·일님·일씨·일지기가 될 만합니다. 어린씨랑 이야기씨를 펴고, 노래님이랑 수다님으로 지냅니다. 사람사이에 높이거나 낮추려는 이름은 서로 갈라지는 틈으로 번지지만, 어깨동무하면서 아이 눈길에 맞추려는 이름은 서로 마음을 틔우고 봄바람이 싱그러이 퍼질 수 있습니다.


ㅅㄴㄹ


내가 하는 말을 / 나 혼자 듣고 지냅니다 / 아 좋다, 같은 말을 내가 하고 / 나 혼자 듣습니다 (그래서/16쪽)


할 수 있는 싸움을 모두 겪은 연인의 무릎에선 알 수 없는 비린내가 풍겨요. 알아서는 안 되는 짐승의 비린내가 풍겨요. 무서워, 라고 말하려다, 무사해, 라고 하지요. (격전지/44쪽)



《수학자의 아침》(김소연, 문학과지성사, 2013)


벚나무는 천 개의 눈을 뜨네

→ 벚나무는 즈믄 눈을 뜨네

→ 벚나무는 눈을 수북히 뜨네

→ 벚나무는 눈을 잔뜩 뜨네

9쪽


교회의 문전성시와 일요일과

→ 절집은 북새통에 해날과

→ 절집은 붐비고 해날과

9쪽


모두가 공평무사하게 불행해질 때까지

→ 모두가 고루 슬플 때까지

→ 모두가 두루 가난할 때까지

→ 모두가 나란히 아플 때까지

10쪽


장마전선 반대를 외치던 빗방울의 이중국적에 대해 생각합니다

→ 장마구름 싫다고 외치던 빗방울 두얼굴을 생각합니다

→ 장마띠 가라고 외치던 빗방울 두이름을 생각합니다

12쪽


빗방울의 인해전술을 지지한 흔적입니다

→ 빗방울숲을 민 자국입니다

→ 빗방울바다를 민 자취입니다

13쪽


언젠가 반드시 곡선으로 휘어질 직선의 길이를 상상한다

→ 언젠가 반드시 휠 곧은 길이를 그린다

→ 언젠가 반드시 휠 바른 길이를 떠올린다

15쪽


알아서는 안 될 거대한 열매들에 고름 같은 과즙이 흘러내려요

→ 알아서는 안 될 커다란 열매에 고름 같은 물이 흘러내려요

45쪽


나는 나대로 극락조는 극락조대로

→ 나는 나대로 하늘새는 하늘새대로

71쪽


꽃들을 향해 지난 침묵을 탓하는 이는 없다

→ 꽃한테 지난 고요를 탓하는 이는 없다

→ 꽃한테 말이 없다 탓하는 이는 없다

86쪽


강물이 흐르고 있다고

→ 냇물이 흐른다고

96쪽


사각의 광장에는 사각의 가오리가 탁본 뜨듯 솟아올라야 한다

→ 네모난 터에는 네모난 가오리가 글씨 뜨듯 솟아올라야 한다

→ 네모터에는 네모가오리가 글뜸 하듯 솟아올라야 한다

10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