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2023.4.29.

수다꽃, 내멋대로 39 사전 사진 사람



  말더듬이에 혀짤배기인 몸으로 살기란 만만하지 않았다. 어릴 적에는 날마다 꾸지람이나 놀림을 받았고, 때로는 얻어맞았다. 어릴 적 다닌 배움터(국민학교)는 가난한 마을 아이들이 우글우글 모였고, 똑소리 나는 참한 가시내가 많았는데, 6학년이던 열세 살에, 부반장을 맡은 가시내가 “동무는 놀리지 않아!” 하고 큰소리를 내주어, 이때 뒤로는 더 놀림받는 일은 없었다. 열 살이던 4학년에 마을 할배한테서 천자문을 배우는데, 할배는 즈믄(1000) 글씨를 다 가르치지 못 하고 돌아가셨다. 864 글씨였던가? 아무튼 나머지 한자는 스스로 익혔고, 옥편이랑 국어사전을 뒤지면서 ‘말더듬이에 혀짤배기인 어린이’가 소리내기 힘든 모든 한자말을 ‘누구라도 수월하게 소리를 낼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말하는 길을 스스로 찾아서 익혔다. 이를테면, 배움책에 “늠름한 위인입니다”라 나오면 “씩씩한 분입니다”로 바꾸어 읽었다. “필요한 사항입니다”라면 “그리 해야 합니다”로 바꾸었다. 1975년에 태어난 또래는 1993년에 첫 수능(수학능력시험)을 치르면서 본고사도 나란히 치러야 했는데, 이때에 ‘언어영역 시험공부를 하려면 국어사전을 읽어야 한다’고 알려주기에, 고1∼고3 세 해 동안 틈틈이 국어사전을 읽었다. 두 벌을 통째로 읽은 날 밤에 책상을 쾅 내리치면서 “아, 이렇게 쓸데없는 영어와 일본말이 가득한 국어사전이라면 차라리 내가 쓰지!” 하고 외쳤다. 그런데 말더듬이 혀짤배기인 몸을 다 바로잡지 않았어도 어쩐지 통·번역이란 일을 하고 싶었고, 1994년에 한국외대 네덜란드말 학과에 들어가지만 정작 그때까지 ‘네한사전(네덜란드·한국말사전)’이 없더라. 1학년이면서 ‘사전원고 입력 자원봉사’를 했다. 어쩜 이 나라는 순 엉터리일까? 말소리가 좀 샌대서 놀리고, 국어사전은 우리말 꾸러미가 아니고, 이웃말(외국말)을 가르친다는 곳에는 이웃말 꾸러미가 아직 없으니 말이다. 통·번역을 하자면 이웃말도 잘 다스려야 할 뿐 아니라, 우리말도 옳게 가누어야 한다. 우리말을 모르는 채 이웃말만 잘 하면, 이웃말을 우리말로 못 옮긴다. 마땅한 노릇이다. 그런데 예나 이제나 우리나라 통역가·번역가는 뜻밖에도 ‘우리말 익히기’에 게으르거나 마음을 잘 안 쓴다. 우리말을 모르면서 어떻게 이웃말을 우리말로 옮길 수 있을까? 나는 우리말꽃(국어사전)이란 꾸러미를 쓰는 길을 얼결에 걸었다. 26살에 《보리 국어사전》을 엮는 편집장·자료조사부장을 맡았는데, 21∼23살에 싸움터(군대)에 가서 강원도 양구 멧골짝에서 벌벌 기어야 하던 무렵에는, 뒷내기(후임병)가 ‘싸움말(군대용어)’을 못 알아듣기에, 모든 뒷내기가 쉽게 알아들을 수 있도록, ‘일본말로 된 싸움말을 우리말로 쉽게 손질해서 알리는 일’을 했다. 하나하나 짚자면, 말더듬이나 혀짤배기가 아니었다면, 새 틀거리(입시제도)가 서지 않았다면, 네한사전 없는 한국외대에 안 들어갔다면, 싸움터에 들어가서 뒹굴지 않았다면, 우리말을 우리말로 바라보는 살림이나 눈길을 스스로 갈고닦자는 마음을 덜 일으켰거나 조금 뒷전으로 미뤘거나 대수롭잖게 여기지 않았으려나 알쏭달쏭하곤 하다. 지나온 날은 하나같이 가시밭이었다고 여길 수 있되, 가시밭길을 꿋꿋하게 헤치면서 ‘살아남자’고 여기던 발걸음이 뜻밖에 스스로 살려주었다고 느낀다. 무엇보다 이동안 “그냥 살아남고 싶지는 않아. 웃고 춤추고 노래하며 살아남겠어. 아니, 웃고 춤추고 노래하며 살림을 짓고 사랑을 배우고 나누며 살겠어.” 하는 다짐을 곁말로 새기는 나날이었다. 인천·서울에 살던 무렵에는 날마다 두세 군데 헌책집을 돌면서 숱한 책을 곁에 두었고, 아이를 낳고서 시골로 옮긴 뒤로는 틈틈이 꾸러미로 온갖 책을 장만해서 새롭게 익힌다. 그리고 시골에서 풀꽃나무랑 들숲바다를 품으면서 ‘말이 없이 말을 들려주는 이웃숨결’을 헤아려서 낱말을 살핀다. 우리가 쓰는 모든 말은 주시경도 세종도 아닌, 아스라이 먼 옛날부터 고장마다 사투리로 스스로 지은 말이다. 밥옷집을 스스로 짓던 시골 순이돌이가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 돌보며 스스럼없이 지은 우리말이다. 이런 얼거리를 책숲마실을 하면서 늘 새롭게 배웠고, 이러다 보니 마을책집을 둘레에 두루 알리고 싶어 ‘책집 사진’을 1998년부터 찍었다. 사전은, 사랑으로 살림을 지은 삶을 사람이 생각을 담아 마음으로 여민 말을 담는다면, 사진은, 사랑으로 살림을 짓는 삶과 나란히 흐르는 숲빛을 사람이 생각을 실어 마음으로 여민 꿈을 옮긴다고 할 만하다. 사전을 새로 쓰고, 그동안 나온 아쉬운 사전을 곰곰이 읽는다. 사진을 새로 찍고, 이웃이 찍는 사진을 물끄러미 본다. 우리 사이에 숲바람이 불기를 바라고, 서로서로 푸른별에서 어깨동무하는 길을 마음으로 익힐 수 있기를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