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비온다 (2023.4.14.)

― 부산 〈비온후〉



  이른아침에 옆마을로 걸어가면 08시 시골버스를 탈 수 있습니다. 마을앞 07시 05분 버스를 타면 읍내에서 너무 오래 멀뚱히 서야 하기에 옆마을로 짐을 바리바리 지고서 걸어갑니다. 아침버스에는 할매할배뿐 아니라 푸른씨가 잔뜩 탑니다. 어르신이 잔뜩 탄 아침버스에 가득한 푸른씨는 저녁버스와 달리 얌전하고 조용합니다. 시골 푸른씨는 저녁버스를 타면 허벌나게 막말판(욕판)입니다.


  시외버스가 부산으로 달리는 동안 빗줄기가 조금씩 굵습니다. 먼지띠를 씻어내면서 봄들·봄숲·봄바다를 다독이는 상냥한 빗살입니다. ‘비오다’나 ‘눈오다’를 한 낱말로 삼아서 낱말책에 실을 수 있을까요? 말글지기(국어학자)가 낱말책에 싣나 안 싣나를 바라기 앞서, 우리 스스로 여느 자리에서 말하고 글쓸 적에는 ‘비온다·눈온다’처럼 붙여서 소리를 내지만, 막상 글로 말소리를 옮길 적에는 “비 온다·눈 온다”처럼 띕니다. ‘비옴·빛옴·꽃옴·봄옴’을 가만히 읊어 봅니다.


  부산 사상에서 버스를 내려 전철을 탑니다. 전철에서 내려 걷습니다. 마을책집 〈비온후〉에 닿습니다. 이달부터 ‘여섯 갈래 걸음꽃으로 피어나는 여행빛’을 여섯 판으로 나누어 폅니다. 오늘하고 이튿날은 ‘헌책집’이랑 ‘자전거’로 마실꽃을 누리는 걸음꽃을 들려주면서 생각꽃을 피우려고 합니다.


  “숲노래 씨는 말끝마다 ‘꽃’이란 말을 자주 붙이네요?” 하고 묻는 이웃님이 있습니다. 우리말 ‘꽃’은 ‘꼴찌·꼬마·끝·꿈’하고 말밑이 맞닿습니다. 중국말 ‘화양연화’는 어린이가 못 알아들을 테지만, 우리말 ‘꽃길’은 누구나 알아들어요. 그래서 글꽃(←문학)에 밝꽃(←과학)에 길꽃(←철학)처럼 풀어낼 수 있어요. 말꽃(←사전)으로 풀어도 어울립니다. 이야기꽃·수다꽃(←강의·특강·수업·클래스)으로 풀어내기도 합니다.


  아이 곁에 서면 누구나 느끼고 배울 만합니다. 아이들은 어버이가 ‘아주 작은 무언가’를 할 적에 기쁨(선물)으로도 멍(상처)으로도 받아들여서 오래오래 마음에 품어요. 우리가 아이로 살아가던 지난날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이는 어버이 숨결을 모두 받아들여요. 어버이 말씨를 마음씨에 담아요. 그러니 이제 어른·어버이란 몸을 입은 모습으로서 ‘어른답게 철들고·어버이답게 사랑스레’ 말씨앗도 마음씨앗도 이야기씨앗도 책씨앗도 꿈씨앗도 함께 심고 가꾸려고 합니다.


  귀를 기울이고, 마음을 기울이고, 생각을 기울이노라면, 어느새 깊이 들어서면서 기쁘게 만나리라 느껴요. 어렵다고 여기니 어렵고, 사랑으로 여기니 사랑으로 거듭납니다. 빗물을 참빗질로 여기고 마당빗질로 맞아들여 마음도 몸도 씻습니다.


ㅅㄴㄹ


《부산의 고개》(동길산, 비온후, 2022.11.25.)

《부산―포구를 걷다》(동길산, 예린원, 2022,7,15,)

《가볍게 읽는 한국어 이야기》(남길임과 일곱 사람, 경북대학교출판부, 2022.11.25.)

《연극비평지 봄 vol.19》(진선미 엮음, 봄, 2022.12.)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