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예수 민음 오늘의 시인 총서 15
정호승 / 민음사 / 198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3.4.9.

노래책시렁 294


《서울의 예수》

 정호승

 민음사

 1982.10.30.



  서울은 ‘살아남기싸움터’라고 느낍니다. 우리말 ‘서울’은 ‘새벌’이요, “새로 일군 커다란 터”라는 밑뜻입니다. ‘서울’은 ‘서라벌’에서 엿볼 수 있듯, 임금님이라는 우두머리가 높이 올라서면서 우쭐거리는 터전이었습니다. ‘나라를 이룬 옛날’부터 서울은 ‘시골을 우려내어 핏물을 빨아들이고 펑펑 쓰는 자리’였습니다. 지음터는 스스로 지어서 누리기에 따로 돈이 없어도 누구나 넉넉합니다. 씀터(소비지)는 사야 누리기에 반드시 돈이 있어야 살아갈 수 있는데 몇몇만 넉넉합니다. 《서울의 예수》를 오랜만에 되읽었습니다. ‘예수’라는 사람은 ‘살림’을 나타냅니다. 모든 죽음을 사랑으로 녹여내면서 누구나 스스로 저마다 피울 수 있는 살림빛을 밝히는 사람이 예수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서울의 예수’라는 글은 아무래도 살림길이 아닌 죽음길을 드러내고, 이 죽음길에서 핏물로 앙갚음을 하듯이 몰아치거나 받아치는 싸움판을 멀찌감치 등지고 서서 바라보는 눈길을 나타나는구나 싶습니다. 처음 이 노래책을 장만하고 읽던 지난날에는 ‘글’만 보면서 뭔가 알쏭했고, ‘글쓴이 발자취’를 읽은 오늘날에는 죽음노래가 글쓴이 스스로를 드러내면서 옥죄겠구나 하고 느낍니다. 앞으로 더 읽을 일은 없겠습니다.


ㅅㄴㄹ


눈 내려 어두워서 길을 잃었네 / 갈 길은 멀고 길을 잃었네 / 눈사람도 없는 겨울밤 이 거리를 / 찾아오는 사람 없어 노래 부르니 / 눈 맞으며 세상 밖을 돌아가는 사람들뿐 (맹인 부부 가수/84쪽)


너의 고향은 아가야 / 아메리카가 아니다. / 네 아버지가 매섭게 총을 겨누고 / 어머니를 쓰러뜨리던 질겁하던 수수밭이다. / 찢어진 옷고름만 홀로 남아 흐느끼던 논둑길이다 …… 울지 마라 아가야 울지 마라 아가야 / 누가 널더러 / 우리의 동족이 아니라고 그러더냐 / 자유를 위하여 이다지도 이렇게 / 울지도 피 흘리지도 않은 자들이 / 아가야 너의 동족이 아니다. (혼혈아에게/8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