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2023.4.3.

수다꽃, 내멋대로 35 돈



  돈을 벌기는 쉽다. ‘나’를 버리면 ‘돈’은 쉽게 들어온다. ‘나’를 안 버리면 ‘돈’은 안 들어온다. 돈을 잔뜩 번 사람 가운데 ‘나를 안 버린 사람’이 있을까? 하나도 없으리라. 왜냐하면, 돈을 벌려면 나를 버려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참다운 ‘나’를 찾으려고 하는 이들은 그동안 벌어들인 돈을 제대로 쓰려는 길에 마음을 기울인다. 아무 데에나 돈을 뿌리는 이는 ‘나’를 버리면서 모은 돈이면서도 막상 ‘나’를 되살리는 길에조차 돈을 못 쓰는 셈이다. ‘나’를 나답게 가꾸려는 이들은 ‘나를 버리면서 모은 돈을 이녁 삶자리에서 치우려고 마음을 기울이는 동안 비로소 나를 되찾’는다. 아무렇게나 아무 데에나 뿌리는 돈으로는 나를 못 찾는다. 오직 스스로 사랑을 느끼는 자리에 돈을 써야 비로소 나를 되찾는다. 숲노래 씨는 여러 가지 일을 한다. 다만, ‘일’을 할 뿐, ‘직업·직장’으로 여기지 않는다. 숲노래 씨가 어떤 일을 맡아서 해내고 나면 둘레에서 돈을 건네기도 하는데, 숲노래 씨는 일을 할 적에 오직 ‘나’로서 맡는 ‘일’을 바라볼 뿐이라, 일삯을 코딱지만큼도 안 쳐다본다. 숲노래 씨가 생각하는 일삯은 그저 하나이다. “저한테 일삯을 주시려면 1초에 1억 원을 주셔요.” 여기에 한 마디를 보탠다. “1초에 1억 원이 비싸면 저한테 일을 맡기지 마셔요. 그리고 종이뭉치로도 1억 원이 있을 테지만, 마음으로도 1억 원이 있습니다. 일한 값을 돈으로 치르실 적에 종이돈으로 1만 원을 주셔도 좋고, 마음돈으로 1억 원을 주셔도 좋습니다.” 사랑을 값으로 헤아릴 수 없다. 사랑은 꽃 한 송이일 수 있고, 하늘에 드리운 구름무늬일 수 있다. 사랑은 웃음 한 자락일 수 있고, 노래 한 가락일 수 있다. 숲노래 씨는 일삯으로 때때로 노래나 춤을 바란다. “저한테 뭘 해주시고 싶으시면, 돈 말고 노래 한 가락 뽑아 주셔요. 춤 한 판 추어 주셔도 고맙고요.” 밑일삯(최저임금)을 값으로 매기는 일은 안 나쁘다고 여기지만, 오직 값만으로 바라본다면, 우리 스스로 종살이에 갇힌다고 느낀다. ‘메시·김연경’한테 밑일삯만 주고 일을 맡길 수 있는가? 모든 사람은 다 다른 ‘메시·김연경’이다. 누구나 저마다 다른 ‘메시·김연경’이다. 셈값(숫자)으로만 바라보면 사람을 못 보고 사랑을 놓친다. 고마이 느끼는 마음을 셈값으로 돌리지 말자. 고맙다고 느끼면 언제나 사랑으로 헤아리면서 풀 적에 스스로 즐겁고 홀가분하다. 우리 집 아이들이 빚은 그림을 사고 싶어하는 분이 있으나 여태 한 자락도 안 팔았다. 돈값으로만 바라보려는 분한테는 손글씨도 손그림도 건넬 마음이 없다. 사랑으로 바라보려는 분이라면 숲노래 씨도 나란히 사랑으로 바라본다. 다만, 돈은 나쁘지도 좋지도 않다. 돈은 오직 돈일 뿐이다. 똥이 나쁜가? 아니다. 똥이 좋은가? 아니다. 똥은 오직 똥이다. 똥은 얼른 흙으로 돌아가려는 숨결일 뿐이요, 똥오줌은 잘 삭이고서 보내든 바로 땅한테 보내든 하면 될 숨결이다. 돈은 ‘돌다’라는 말밑을 품은 말결 그대로 ‘돌멩이처럼 뎅구르르 돌고돌면서 동글동글 동무로 만나는 자리에 주고받으면 되는 빛’ 가운데 하나이다. 돌고돌아야 할 돈을 돌리지 않고서 혼자 움켜쥔다면 ‘딱딱한 돌’로 굳는다. 돈을 못 벌어서 걱정하는 이들은 돈벼랑이나 돈수렁에 잠긴 채 스스로 뻣뻣하게 굳는다. 돈을 내칠 까닭은 없되, 움켜쥘 일도 없다. 흐르도록 돌릴 적에 빛나는 돈이다. 돈을 움켜쥐기에 ‘돌아(미쳐)’버린다. 돈을 돌리기에 서로 ‘동무’이다. 아주 쉽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