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3.4.
《버드홀릭》
최종수 글·사진, 자연과생태, 2021.1.15.
시골에서 마을삽질을 하는 몸짓을 또 마주한다. 우리나라는 어디에나 삽질판이다. 서울은 서울삽질(도시재개발)이요, 시골은 마을삽질(농어촌토목공사)이다. 우리나라에 ‘돈이 없지 않’은 줄 늘 느낀다. 틀림없이 돈은 넉넉하지만, 이 돈을 사람들이 고르게 나누는 길이 막혔다. 《버드홀릭》을 읽었다. 아이들한테 건네어 보는데, 한 벌을 읽고서 더 읽지는 않는다. ‘새바라기’를 하는 분들은 으레 두 가지 말을 쓴다. 하나는 일본 한자말로 ‘탐조’를 쓰고, 둘은 영어로 ‘버드워칭’을 쓴다. 우리말로 ‘새바라기’를 하는 분은 아주 적다. 우리는 스스로 무엇을 보고 듣고 생각하려는가. 하루하루 새롭게 오르는 해를 볼까? 나날이 부푸는 꽃망울·잎망울을 볼까? 별이 돋는 밤하늘빛을 볼까? 하나둘 깨어나는 개구리랑 풀벌레를 볼까? 보려는 마음에 따라서 생각이 달라진다. 별을 보면서 ‘별바라기’라 안 하고 ‘천체관측’이라고 멋부리는 사람들이다. 글을 읽으면서 ‘글읽기’라 안 하고 ‘독서·문해·탐서·리딩’처럼 잘난척하는 사람들이다. 스스로 수수하게 삶을 사랑하려는 마음눈을 틔우지 않으면, 스스로 숲빛을 품지 못 한다. 숲빛을 못 품는 눈길로 새를 알아보거나 새나 풀꽃나무하고 마음으로 이야기할 수 있을까? 글쎄.
버드홀릭 → 새사랑 . 새바라기 . 새에 홀리다 . 새가 좋다 . 새가 반갑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