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숨은책읽기 63


《노태우 선언, 꿈도 아픔도 국민과 함께》

 노태우 글

 민주정의당

 1987.8.



  파란빛 손글씨로 쓴 글월을 떠서 ‘6·29선언 설문지’까지 끼워넣고서 열여섯 쪽짜리로 엮은 《노태우 선언, 꿈도 아픔도 국민과 함께》에는 들꽃물결을 누그러뜨리려는 벼슬아치(정치권력) 속셈이 환히 드러납니다. 1987년 여름날, 마을 ‘통장’이 집집마다 이 꾸러미를 돌립니다. “저녁에 설문지 내세요!” “네.” 어머니는 건성으로 대꾸합니다. 그때 어머니가 ‘설문지’를 내셨는지 안 내셨는지는 모릅니다. 다만 이 꾸러미를 내다버린 집이 무척 많았고, 통장 아줌마는 ‘설문지 걷기’를 하려다가 그만둔 줄 압니다. 어머니는 “그렇다고 버리기는 왜 버려? 폐품수집 할 때 내야지.” 어머니 말마따나 저랑 언니는 다달이 ‘폐품수집’을 내느라 고달팠어요. 어린배움터(국민학교)를 다니던 1982∼87년 내내 다달이 ‘빈병 2 + 헌종이 5킬로그램’을 내야 했습니다. 안 내면 이듬달로 밀려서 쌓이고, 다 낼 때까지 꼬박꼬박 두들겨맞습니다. ‘폐품수집 매맞기’는 12월에서 1월로 넘어갈 즈음 비로소 에워 줍니다. 우두머리나 벼슬아치 자리에 있던 이들은 ‘아픔’이 뭔지 알기나 할까요? 예나 이제나 그분들은 하나도 모를 테지요. ‘폐품수집’ 따위도 ‘방위성금’ 따위도 안 해봤을 테지요. 힘(권력)이 없어야 나눔(평화)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노태우네 아이들이

광주에 가서 무릎을 꿇었다지.

그런데 그들은 왜 광주에서만 빌까?

온나라 모든 어린이한테

먼저 무릎을 꿇고서 빌어야 하잖은가?


독재자는 전남 광주만 짓밟지 않았다.

온나라 모든 어린이를 짓밟았고,

가난한 사람들을 우려먹고 괴롭혔다.

어린이한테 무릎꿇고 빌지 않는다면

제대로 잘못을 빌었다고 여길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