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셋 키우는 남자
권귀헌 지음 / 리오북스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책읽기 2023.3.1.

인문책시렁 289


《아이 셋 키우는 남자》

 권귀헌

 리오북스

 2017.1.24.



  《아이 셋 키우는 남자》(권귀헌, 리오북스, 2017)를 읽었으나 마음에 와닿은 대목은 없이 ‘잘나가던 사람으로서 돈도 이름도 버리고 아이를 돌보는 멋진 아버지’로 살아가려 한다는 자랑만 자꾸 느꼈습니다. 비가 오는 날 아이가 비에 안 젖도록 쇳덩이(자동차)를 몰아서 마중을 갔다는데, 그때 아이가 들려준 말을 듣고는 “아이가 느긋이 비랑 놀 틈을 빼앗아서 잘못했다”고 뉘우칠 줄 모르는 채 “아이가 많이 컸다(246쪽)”고 생각했다니 참으로 아찔하기까지 합니다.


  글쓴이는 틀림없이 ‘좋은 뜻’으로 “우리 부부는 인사상의 불이익과 재산상의 손실을 감수하면서도 한지붕에서 사는 것을 선택했습니다(27쪽)” 하고 밝히지만 더없이 거북하기만 합니다. 높은자리(승진)하고 돈(재산)보다는 아이를 바라보았다는 줄거리인 듯싶지만, ‘아이랑 뛰놀며 어버이란 자리를 새롭게 배우는 길’이 아닌 ‘이름과 돈이 아닌 아이’라고 말해야 하나 아리송해요.


  아이를 바라보려고 아이 곁에 있으니 어버이란 이름입니다. 아이를 낳기에 어버이가 아닙니다. ‘보고·돌보고·돌아보고·바라보고·보살피고’를 비로소 할 줄 아는 마음하고 몸짓을 추스르기에 조금씩 철이 들면서 어버이·어른으로 섭니다.


  뜻(대의명분)만 세우려 하면 겉치레로 그칩니다. 짝꿍이 숱한 집안일을 혼자 해낸 줄 뒤늦게 느끼면서 ‘놀랐다’고 밝히기에 참으로 놀랄 뿐입니다. 곁님에 앞서 어머니랑 할머니가 먼 옛날부터 다 하던 집안일이요, 지난날에는 몽땅 손으로 했습니다. ‘아이키우기를 했다’고 밝히고 싶다면, 아기수레(유모차)가 아닌 처네나 포대기로 아기를 안거나 업으면서 저잣마실을 다닐 노릇이고, 종이기저귀 아닌 천기저귀로 손빨래를 할 노릇이고, 늘 자장노래를 불러 주고, 같이 춤추고, 같이 뛰고 달리고 풀꽃나무 곁에서 나비춤을 보고 풀벌레노래에 귀를 기울이는 하루를 보내기를 바라요. 이런 하루를 안 보내고서 ‘아이키우기’를 했다고 말하는 이들은 한낱 겉치레에 눈가림일 뿐입니다.


ㅅㄴㄹ


나름 화려했던 경력을 뒤로하고 하루 종일 집구석에 앉아 있으니 대한민국의 수많은 어머니가 떠오릅니다. (5쪽)


가끔씩 아내가 이런 일들을 혼자서 해냈다는 생각이 들면 놀랄 때가 많습니다. (23쪽)


우리 부부는 인사상의 불이익과 재산상의 손실을 감수하면서도 한지붕에서 사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27쪽)


아들에게 어떤 존재가 되어야 하는지, 어떤 아빠로 기억되고 싶은지를 분명하게 규정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37쪽)


사실 고등학교 때까지는 공부만 했지 세상을 배울 기회가 없었잖아요. (67쪽)


아들이 이런 얘기를 하더군요. “아빠랑 오니까 편하고 좋긴 한데 친구하고 떠들고 나뭇가지 줍기 하면서 걷는 게 더 재밌어. 다른 애들도 그냥 우산 쓰고 와.” 순간 섭섭함보다는 아이가 많이 컸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24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