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3.
《민족혁명가 김원봉》
이원규 글, 한길사, 2019.11.5.
아침 일찍 면사무소로 간다. 오늘 고흥군 도화면에서 ‘고흥군수 정책 토론회’라는 자리가 있다고 이웃님이 귀띔을 했다. 이런 자리가 있는 줄 마을알림도 없고 어디에서도 안 알렸는데 이웃님은 어떻게 알았을까? 면사무소에 가 보니 부릉이가 어린배움터 너른터까지 들어찬다. 가만 보니 ‘이장·개발위원·부녀회장’만 몰래 부른 자리였다. 그런데 ‘정책 토론회’란 이름이라고? 공영민 고흥군수는 “10년 후 고흥인구 10만의 기반구축을 위한, 2023 도화면민과의 지역발전 전략 토론회”라고 내걸되, 이끎이(사회자)도 없이, 도화면장은 귀퉁이에 물러앉은 채 혼자 떠들고 자랑한다. 고흥군에 나라돈 몇 조를 끌어들였으니 손뼉 좀 치라고 부추기고, ‘광주·고흥 고속도로’에 ‘서울·고흥 고속철도’를 뚫겠다고 외친다. 시골을 살리는 길이 아닌 ‘눈먼 돈잔치’만 끌어들이는 짓을 하겠다는 ‘몰래자리(비밀회의)’ 한복판에 어쩌다 앉은 하루가 참 쓸쓸하다. 어린이를 눈꼽만큼도 안 살피는 이들이 군수요 공무원이요 이장이다. 《민족혁명가 김원봉》을 띄엄띄엄 읽는다. ‘민족혁명’이란 뭘까? 이런 으리으리한 이름을 꼭 붙여야 할까? 그저 ‘한 사람’을 바라보면서 ‘작은 이웃’을 들여다보는 ‘살림읽기(역사읽기)’는 안 팔리는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