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숲이랑 나무랑 메를 담는 (2021.10.31.)

― 진안 〈책방사람〉



  그제 서울로 작은아이랑 함께 가서 바깥일을 보고서 어제 고흥으로 돌아왔습니다. 이튿날 아침에 서울에서 새로 바깥일을 봐야 하기에 오늘 다시 짐을 꾸렸고 전주를 거쳐 진안으로 건너갑니다. 진안군청 가까이에는 그동안 찻집으로 꾸리던 “공간153” 한켠을 〈책방사람〉으로 꾸며서 여는 분이 있다고 들었어요.


  시외버스는 진안 버스나루에 닿기 앞서 멈춥니다. 여기서 내리는구나 싶어 내렸더니 더 가야 하더군요. 그러나 일찍 내렸기에 진안읍 어귀를 감싸는 가을숲을 만납니다. 시골이라면 읍내보다 읍내 바깥이 포근해요. 모든 시골 읍내가 서울을 닮지만, 모든 시골 ‘읍내 바깥’은 저마다 다른 시골빛으로 영글며 짙푸릅니다.


  가을빛을 오른쪽으로 끼며 걷다가, 시골도 서울도 배움터(학교)를 숲 기스락에 마련하면 어울리겠다고 생각합니다. 어린이·푸름이·어른 모두 집하고 배움터 사이를 두 다리나 자전거로만 오가도록 하면 아름답겠지요. 시청·군청 같은 벼슬집(공공기관)도 부릉이(자동차)가 못 들어서도록 하면서, 누구나 두 다리하고 자전거로만 다니도록 하면 멋스러울 테고요.


  나라에서는 ‘전기자동차’에 목돈을 어마어마하게 들이는데, 푸른길을 살리려면 ‘자동차 아닌 자전거하고 뚜벅이’한테 목돈을 쓸 노릇이에요. 부릉종이(면허증) 없이 걷는 사람이랑 자전거를 타는 사람한테 목돈을 주면 이 나라는 저절로 푸른길로 접어들 만해요. 벼슬꾼은 살림돈을 어디에 써야 하는지 아직 모릅니다.


  작은책집 〈책방사람〉에 닿아 등짐을 내립니다. 땀을 식히면서 책시렁을 둘러봅니다. 어버이한테 아이란, 또 아이한테 어버이란, 생각을 나누며 함께 걸어가는 즐거운 사이라고 느껴요. 어깨를 겯거나 손을 맞잡으며 걸어가기에 한집안입니다. 핏줄로만 이을 수 없는 사이입니다.


  그림이란, 참말로 마음을 담은 빛살이라고 느낍니다. 붓을 놀려 종이에 담기에 그림이지 않아요. 붓 없이 나뭇가지로 땅바닥에 담아도 그림입니다. 아름책 《플랜더스의 개》에 나오는 ‘네로’는 붓도 종이도 없지만 늘 흙바닥에 그림꽃을 피우면서 ‘언젠가 돈을 모아 꼭 종이를 사야지’ 하고 생각해요. 네로가 종이에 처음 담은 그림은 ‘아로아’였고, 아로아네 아버지는 네로 그림을 보고 깜짝 놀라기는 했으나 그림빛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대수로울 일이 없어요. 눈감은 이가 알아보지 않는들, 눈뜬 스스로 활갯짓을 하면 언제 어디나 그림누리입니다.


  작은책집을 알아보는 사람이 작은책집을 사랑하고, 작은마을을 사랑하며, 작은사람으로서 함께 어깨동무를 합니다. 작은씨앗이 나무로 자라 숲을 이룹니다.


ㅅㄴㄹ


《나의 프리다》(앤서니 브라운 글·그림/공경희 옮김, 웅진주니어, 2019.2.2.)

《찬란한 고독, 한의 미학》(최광진 글, 미술문화, 2016.6.20.)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숲노래·최종규·사름벼리, 스토리닷, 2020.3.10.)

《우리말 글쓰기 사전》(숲노래·최종규, 스토리닷, 2019.7.22.)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