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욱 선생님이 들려주는 장영실 산하인물이야기 10
고정욱 지음, 허구 그림 / 산하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어린이책 2023.1.18.

맑은책시렁 290


《고정욱 선생님이 들려주는 장영실》

 고정욱 글

 허구 그림

 산하

 2002.4.11.



  《고정욱 선생님이 들려주는 장영실》(고정욱·허구, 산하, 2002)을 읽었습니다. 우리 지난날을 돌아보면서 뜻깊은 어른을 다루는 책 가운데 하나로 여길 수 있을 텐데, 장영실 님이 걸어간 길이나 나눈 뜻보다는, ‘나라틀(국가질서)을 바르게 세운 세종대왕’을 기리는 뜻을 오히려 들려주려는 듯한 얼거리 같습니다.


  그런데 세종 임금은 ‘한글 아닌 훈민정음’을 여미었습니다. 세종 임금은 모든 사람이 ‘글’을 쓰기를 바라지 않았습니다. 임금·벼슬아치·나리·글바치는 지난날 한 줌(1퍼센트)도 되지 않았으나 글힘(문자권력)을 그들끼리 거머쥐었고, 글힘은 모두 중국글이었습니다. 훈민정음조차 ‘우리 스스로 우리 마음을 우리말로 담아서 옮기는 글’이 아닌 ‘중국말을 조선팔도 사투리가 아닌 서울말씨로 맞추는 틀’ 노릇을 톡톡히 했습니다.


  지난날 ‘유교 삼강오륜’이란 위아래(신분·계급)를 가르는 무시무시한 굴레입니다. 세틀닷길(삼강오륜)이 서기에 나라가 아늑(평안)할까요? 힘(권력)을 틀어쥐고서 사람(백성)을 억누르는 이들로서는 걱정없을는지 모르나, 억눌린 들풀이 보기에는 그저 갑갑하고 고약한 굴레일 뿐입니다.


  종(노예)이라는 몸을 입은 장영실이기에 종으로 일하는 어린날이었고, 종이라 하더라도 다부지고 슬기롭게 일매무새를 추스르고 펼 줄 알았기에 나리(관청)가 귀여워했고, 장영실이 품은 솜씨를 나라(정부)에서도 뽑아썼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위아래(신분·계급)가 무시무시할 뿐 아니라, 순이(여성)는 벼슬이나 감투를 얻을 수 없던 메마르고 차가운 지난날, 장영실 같은 사람이 어렵사리 벼슬을 얻었다 하더라도 얼마나 아슬아슬했을까요. 또한 시샘과 미움을 얼마나 한몸에 받아야 했을까요. 나리(양반) 핏줄이 아닌 장영실 님이기에 장영실 님을 둘러싼 글이 남을 턱이 없습니다. 더구나 장영실 님을 둘러싸고서 누가 남긴 글조차 훈민정음이 아닌 한문이지요.


  서슬퍼런 조선이라는 때에 종몸이었어도 솜씨를 조금은 펼 수 있던 장영실 님 이야기를 동화나 위인전으로 다룬다고 할 적에는, 장영실 님이나 장영실 어머님이 겪고 맛보며 받아들여야 했을 멍울과 생채기와 눈물을 나란히 펼치면서, 그무렵 돌이나라(가부장 국가권력)가 어떻게 고약한 민낯이었는가를 차근차근 짚을 노릇이라고 봅니다. 지난날 종(노예)이라는 몸(신분)인 사람들은 임금·벼슬아치·나리한테 딸린 돈붙이(재산)였습니다. ‘가마에 앉은 분’이 아닌 ‘가마를 메고 나르는 일꾼’을 바라볼 줄 아는 눈썰미로 옛사람을 다룰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응, 별은 일 년 내내 살펴야 해. 별자리를 보고 하늘을 살피면 우리가 어떠한 시간의 흐름 속에서 살아가는지 잘 알 수 있어.” (36쪽)


부자유친·군신유의·부부유별·장유유서·붕우유신의 다섯 가지로, 아버지와 아들, 임금과 신하, 남편과 아내, 어른과 아이, 친구 사이의 도리를 밝힌 것입니다. 삼강오륜을 몸에 익혀 새활한다면 나라가 평안하고 질서가 잡힐 것입니다. 그러나 그런 어려운 가르침은 모두 한문으로 되어 있어 백성들이 읽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세종대왕은 자신의 뜻을 백성들에게 널리 펼치기 위해 한글을 만들었습니다. 백성들이 교육을 받고 자신의 뜻을 글로 전할 수 있게 된다면 훨씬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으로 믿었습니다. (81쪽)


장영실이 그토록 많은 공로를 세우고 수많은 사람들이 그의 발명 덕분에 혜택을 입었지만, 결국 쫓겨나고 만 것입니다. 장영실은 더 이상 발명을 할 수 없었습니다. 목숨을 잃지 않은 것만도 다행이었습니다. 이는 조선 시대 신분 제도의 큰 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11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