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2.17.
《파랑을 조금 더 가지고 싶어요》
권윤덕 글·제주 어린이 33사람, 남해의봄날, 2022.5.5.
집에 있는 동안 겨울바람이 그리 차다고는 못 느끼다가, 커피콩을 장만하러 읍내를 다녀오자니 칼바람이 쉬잖고 몰아치는구나 싶다. 큰아이가 묻는다. “아버지, 읍내에서는 왜 바람이 더 세다고 느낄까요?” “여기 읍내를 보렴. 서울도 똑같은데, 나무를 볼 수 있니? 나무가 자랄 틈이 없어. 기껏 심은 나무도 앙상해. 나무가 푸르게 덮으면 여름이 시원하고 겨울이 포근하지만, 나무를 잊고 미워하다 보니, 바람을 다스릴 수 없어 춥지.” 나무가 우거지기에 숲을 비롯해 바다가 싱그럽다. 나무를 밀어내어 부릉길을 닦고 넓히기에 바다도 숲도 죽는다. 제주바다뿐 아니라 온나라 바다가 죽어가지만, 나라뿐 아니라 사람들 스스로 부릉이(자가용)를 버릴 마음이 없어 보인다. 그렇게 빨리 멀리 혼자 다녀야 한다고 여기니 들숲바다가 한꺼번에 앓는다. 《파랑을 조금 더 가지고 싶어요》를 읽었다. 그림님이 어린이하고 나눈 뜻깊은 배움길을 여민 책이라고 느끼면서도 아쉽다. 이제는 ‘목소리’로 다가가기보다는 ‘살림’으로 함께해야지 싶다. 아이들은 부릉이를 안 몬다. 오직 어른들만 몬다. 제주바다는 바로 ‘부릉길 + 부릉이’가 망가뜨린다. 걷거나 자전거를 달리며 제주 어린이를 만났다면, 그림도 얼거리도 확 달랐으리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