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숨은책 2023.1.1.
헌책읽기 6 남의 문화유산 답사기 1
척 보아도 어느 책을 따라하되 따라하지 않는 척하는 결을 보여주는 《남의 문화유산 답사기 1》를 1997년에는 알지 못 했습니다. 저는 1997년에 강원 양구 멧골짝에서 날마다 금강산을 맨눈으로 바라보면서 한 손에 총을 쥐었거든요. 1997년 12월 31일에 드디어 강원도 멧골짝 눈밭을 떠나고서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돌아오는데, 둘레에서 전유성 씨 책이 재미있다고 읽어 보라 말하는 이가 제법 있었습니다. 그러나 슥 보고는 어쩐지 재미없더군요. 스물다섯 해가 지난 2022년에 모처럼 다시 들추자니 첫머리가 남다르네 싶었다가도, 바로 17쪽 이야기부터 내내 재미없더군요. ‘유럽 배낭여행 이야기’를 쓸 생각을 했다면서 막상 ‘방송국에서 대주는 돈으로 널널하게 다닌’ 발걸음으로는 뼛골이든 마음으로든 스밀 만한 이야기하고 멀게 마련입니다. 스스로 다리품에 손품을 팔면서 만난 이웃나라가 아니라, 심부름꾼(통역·짐꾼·운전사)을 거느리는데다가 밥값도 찻값도 술값도 길삯도 스스로 치르지 않으면서 무슨 ‘배낭여행’이 될까요? 이러다 보니 발바닥으로 느끼거나 누린 ‘이웃나라 살림(문화유산)이 아니’라 ‘남들(아는 사람들)한테서 주워들은’ 이야기를 잔뜩 끼워넣고, 주저리주저리 잔소리가 가득합니다. 일부러 힘들게 돌아다녀야 배우거나 느끼지 않습니다. 손쉬운 길로 가서 이름을 얻거나 판다면, 누구보다 전유성 씨 스스로 배울거리가 없을 테지요. 다른 곳(익살판)에서는 이름을 날리거나 팔았을는지 모르나, 글판에서는 영 시답잖구나 싶어요. 구태여 ‘익살스러워 보일 글’을 쓰려고 용을 쓸 까닭이 없어요. ‘남’을 이야기할 까닭도, 남들이 들려준 말을 잘 옮겨서 붙여야 할 까닭도 없습니다. 우리나라를 다리품을 팔아서 돌아다니든 이웃나라를 발품을 팔아서 누비든, ‘내 눈(우리 눈)’으로 보면 될 뿐입니다. 책이름조차 그렇습니다. 유흥준 씨 책이름을 흉내내려 했으면, 차라리 “너네 문화유산 답사기”로 붙였으면 그나마 나았으리라 봅니다.
ㅅㄴㄹ
《남의 문화유산 답사기 1》(전유성, 가서원, 1997.4.15.첫/1997.5.25.10벌)
배낭여행에 웬 촬영팀이냐 하면, 우리 부부가 유럽으로 여행을 간다니까 이왕 가는 거 비디오로 좀 찍어서 방송으로 내보내자는 데가 세 군데 있었다. (17쪽)
잘돼 있다고 소문난 파리 지하철이 알고 보면 굉장히 불편하다는 걸 오래 있어 본 사람이나 유학생들은 안다. 화장실 없지 문도 자동이 아니지 칸마다 왔다갔다고 안 되지. 정말 엄청 불편하다고 한 친구가 말했다. 그러자 다른 한 친구가 대답한다. “야, 임마! 대신 잘 빠진 애들이 많이 타잖아!” 그건 그래!!! (36쪽)
산책을 좋아하는 부모들은 아이들을 유모차에 태우고 역사적인 건물들 사이를 지나고 공원을 지나고 다리를 건넌다. (100쪽)
그런데 다니다 보면 음식을 배달해 먹을 수 있는 한국이 역시 좋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물론 피자는 외국에서도 배달해 주지만. 집에서 시켜먹고 싶은 게, 누워서 편안하게 먹고 싶은 게 어디 피자뿐이랴!!! 그래서 우리는 배달민족이다!! (137쪽)
프랑스 성인 프로그램은 어떻게 보면 일본 것보다 더 야하다. 굉장하다. 충격을 받는다. 수요일, 금요일, 토요일 밤 열두 시 넘어서 케이블TV 채널을 이리저리 돌려 보아라. 공중파는 수요일날 틀어 보아라. 여기 처음 온 사람들은 처음에 열심히 보지만 나중엔 안 본단다. 남이 하는 것 보면 뭘 하냐! 본인이 직접 해야지!!! (22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