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읽기 / 숲노래 어제책 2022.12.28.

헌책읽기 4 할아버지의 부엌



  나라에 이바지하고 일터(회사)에 몸바치는 사내가 수두룩합니다. 요새는 사내 못잖게, 때로는 사내보다 더 나라하고 일터에 이바지하거나 몸바치는 가시내가 참 많습니다. 곰곰이 보면 어린배움터부터 ‘바깥살이(사회생활)’를 해야 마치 ‘나찾기(자기계발)’를 이룬다고 가르칩니다만, 참말로 집밖을 오래 떠돌면서 돈을 벌고 이름을 얻고 힘을 부려야 ‘나찾기’일까요? 요새는 손수 밥차림을 하는 사내가 부쩍 늘었으나 아직 밥차림을 등지거나 못 하는 사내가 수북해요. 더구나 밥차림을 익히거나 다루면 ‘가시내답지 않다(성평등하고 멀다)’고 여기면서 손에 물을 안 대는 분이 차츰 늘어납니다. 1990년에 우리말로 나온 《할아버지의 부엌》은 나라나 일터에만 온마음을 다하고 살다가 자리에서 물러난 사내들이 ‘마을에 동무도 이웃도 없을 뿐 아니라, 마을을 하나도 모르고, 집살림이며 집안일은 더더욱 모르는 바보스러운 하루’를 나이든 딸아이가 하나하나 짚고 가르쳐 주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할아버지가 되고서야 비로소 홀로서기다운 홀로서기를 처음 배우는 아장걸음’은 사내를 보여줘요. 그런데 앞으로는 “할아버지 부엌”뿐 아니라 “할머니 부엌”을 말할 때로 다가간다고 느껴요. 2030년을 지나고 2040년 무렵이면 부엌칼도 도마도 다룰 줄 모르는 가시내가 수북하지 않을까요? 손전화로 시킬 줄은 알되 집에서 살림할 줄 모르는 순이돌이가 넘실거리겠지요? 그동안 나라지기(대통령)를 마친 이들은 하나같이 우람집(대궐)을 짓고서 숨었습니다. 시골 오두막이나 서울 골목집에 깃들어 ‘수수한 들꽃살림’을 짓는 이가 없습니다. 높다란 벼슬이나 감투를 거머쥔 이도 매한가지입니다. 글이름을 판 사람도 엇비슷합니다. 오늘 우리는 무엇을 바라보는 삶일까 처음부터 짚을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이 배움터에서 무엇을 보고 자라는지 다시 돌아봐야지 싶습니다. 부엌일이며 집안일을 안 하고서 배움터만 오래 다니는 사람은 누구나 바보라는 굴레에 스스로 갇힙니다.


ㅅㄴㄹ


《할아버지의 부엌》(사하시 게이죠/엄은옥 옮김, 여성신문사, 1990.5.10.)



아버지가 ‘혼자살기’를 선언한 때부터 나는 경제적으로 가계를 꾸리는 방법, 혼자 사는 방법을 아버지에게 가르쳐 드리지 않으면 안 되었다. (34쪽)


언니들은 아버지가 욕심쟁이고 자기 멋대로라고 한다. 그러나 혼자 사는 나는 아버지의 기분을 손에 쥐듯 알 수 있다. 나는 너무 바쁘다 보니 외로움을 뼛속 깊이 느낄 사이가 없지만 아버지는 하루 종일 자유시간. (190쪽)


회사를 위해 일생을 바치고, 가족을 위해 이를 악물고, 때로는 마음에 들지 않는 일도 해왔다. 그리고 나서 문득 돌이켜보니, 거기에는 따뜻하게 마음을 쉴 수 있는 가정이 없었다. (20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