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숲노래 책읽기 2022.12.23.

책하루, 책과 사귀다 150 띠종이



  책에 띠종이를 하기에 예뻐 보일는지 모르고, 띠종이에 알림글을 더 새길는지 모르고, 지은이 얼굴을 박아서 돋보이기를 바랄는지 모릅니다. 띠종이가 깃든 책을 보면 “‘살피(책갈피)’로 삼으라는구나.” 하고 여기지만, 띠종이가 깃든 책은 그만큼 책값이 오릅니다. 굳이 띠종이를 안 하면서 책값을 낮추면 한결 낫다고 느낍니다. 구태여 띠종이로 더 알리거나 내세우려 하지 말고, 오롯이 이야기로 이웃을 만나려는 마음일 적에 아름다울 테고요. 숲빛(친환경)은 입방정으로 이루지 않습니다. 작은펴냄터는 눈물을 삼키며 띠종이를 두르거나 도무지 종이값을 더 대기 버거워 띠종이를 안 두릅니다. 큰펴냄터는 으레 지은이 얼굴을 크게 박으면서 잘난책(베스트셀러)을 노리며 띠종이를 두릅니다. 띠종이 말고도 살피에 잎글(엽서)에 덤(굿즈)을 곁들이는 큰펴냄터가 많습니다만, 책이 왜 책인지를 곰곰이 짚어 봐야지 싶습니다. 뭔가 덧붙이거나 자랑하려는 겉차림은 참빛이나 사랑하고는 멀어요. 옷이 날개라 하지만, 옷은 허울이기도 합니다. 글은 눈으로 읽되, 마음은 오직 ‘사랑빛이란 마음눈’으로만 읽습니다. 줄거리(내용·컨텐츠)보다는 이야기(삶·살림·사랑)를 들여다보는 이웃님하고 띠종이 없는 책을 홀가분히 나누고 싶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