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먼 바다 ㅣ 창비시선 45
박용래 지음 / 창비 / 1984년 11월
평점 :
숲노래 시읽기 2022.12.8.
노래책시렁 275
《먼 바다》
박용래
창작과비평사
1984.11.5.
글을 쓰는 자리에 서고 싶다면, 먼저 살림을 하는 자리에 설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부엌칼을 쥐고서 도마질을 하여 밥짓기를 하지 않은 사람은 ‘부엌칼·도마·밥·짓다’라는 우리말을 풀이하지 못 합니다. 그리고 이런 낱말을 여미어 글을 쓰지 못 해요. 한자를 익히 읽고 한문책을 으레 읽은 사람은 한자말을 듬뿍 담아서 글을 씁니다. 일본말씨나 옮김말씨가 가득한 책으로 배운 사람은 이 말씨가 마음에 가득하니 이 말씨대로 글을 씁니다. 《먼 바다》를 되읽고서 생각합니다. 서른 해쯤 앞서 읽을 적에는 박용래 님이 글이름이나 글에 한자를 숱하게 적어도 대수로이 여기지 않았는데, 서른 해가 지나서 되읽다 보니 거슬립니다. 새로 태어나 자라나는 어린이가 어른이 될 서른 해 뒤라면 아예 못 읽힐 글이 많겠다고 느껴요. 앵두꽃도 살구꽃도 못 볼 뿐 아니라, 나무에서 앵두랑 살구를 따먹지 못 하고, 새가 앵두랑 살구를 쪼는 모습을 못 본다면, 이러한 한살림을 글로 담을 길이 없어요. 우리는 어떤 삶을 글로 여미는 하루일까요? 우리는 어떤 책을 곁에 두면서 어떤 말과 삶과 마음을 바라보는가요? ‘문학에 이름을 남기는 글’이 아닌 ‘아이들이 물려받으면서 삶을 기쁘게 노래하는 글’을 읽거나 쓰거나 나누는 하루인가요?
ㅅㄴㄹ
앵두꽃 피면 / 앵두바람 / 살구꽃 피면 / 살구바람 // 보리바람에 / 고뿔 들릴세라 / 황새목 둘러주던 / 외할머니 목수건 (앵두, 살구꽃 피면/30쪽)
한뼘데기 논밭이라 할 일도 없어, 흥부도 흥얼흥얼 문풍지 바르면 흥부네 문턱은 햇살이 한 말. / 파랭이꽃 몇 송이 아무렇게 따서 문고리 문살에 무늬 놓으면 흥부네 몽당비 햇살이 열 말. (小感/13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