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12.3.

숨은책 653


《モダン 新語辭典》

 早坂二郞·松本悟郞 엮음

 浩文社

 1931.10.20.첫/1932.3.1.다섯벌.



  우리는 우리 손으로 바깥길을 익히거나 살필 겨를이 없었습니다. 아니, 우리는 중국을 섬기는 몸짓이 너무 드센 나머지, 한문만 글이라 여기면서 한글을 얕보고 깎아내리는 길을 걸었습니다. 곰곰이 보면,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 돌본 수수한 시골 어버이는 글(한문)을 하나도 모르지만 말(우리말)로 살림을 짓고 이야기꽃을 피웠어요. 벼슬아치·임금·붓바치는 말(우리말)이 아닌 글(한문)로 나라일·감투를 거머쥐면서 들꽃사람(백성·한문을 모르는 채 흙을 일구는 사람)을 짓밟고 괴롭히며 우려먹었습니다. 벼슬을 쥔 사내들이 세운 꼰대질(가부장권력)이 무너지던 1900년 언저리에 일본말이 밀물처럼 흘러들어요. 일본이 총칼로 뒤덮은 1910년 무렵부터는 ‘일본이 일본 한자말로 받아들인 바깥길(서양문화·문물·문명)’이 너울거렸습니다. 《モダン 新語辭典》은 일본사람이 바깥길을 받아들이려고 애쓴 자취가 물씬 흐릅니다. ‘새롭고(モダン) 새로운(新語) 말’을 꾸린 작은 책을 펴면, 영어를 어떤 한자말로 옮겨야 사람(일본사람)들이 알아듣기 좋으려나 하고 생각한 자취를 읽을 만합니다. 우리는 아직 영어도 한문도 일본 한자말도 ‘우리 말글’로 옮기는 기틀을 안 닦거나 못 세웠습니다. 새술을 새자루에 담듯, 새길은 우리 새말로 담는 넋을 언제쯤 헤아릴 수 있을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