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숲노래 마음노래 . 지도자
앞에서 이끄는 사람이 ‘지도자’라고 잘못 알곤 하더라. 한자말 뜻풀이로 보면 ‘지도’란 “어느 곳 가리키기”야. “가리키는 놈”이 지도자이지. 알겠어? ‘지도자’는 앞에서 안 이끌어. 뒤에 혼자 아늑하게 퍼질러앉아서 다른 사람들더러 앞으로 나가서 ‘받이’를 하라고 시키는 놈이란다. ‘받이’란 ‘화살받이·총알받이·욕받이’야. 숱한 사람들 목숨을 마치 허수아비처럼 다루고 부려서 제 목숨만 건사하는 놈이 ‘지도자’야. 그런데 숱한 사람들은 ‘받이’가 되어 목숨도 삶도 잃는데, 뒤에 멀쩡히 숨어서 ‘시키는(가리키는)’ 놈은 가슴팍에 번쩍번쩍 보람(훈장)을 주렁주렁 달더구나. 너희한테 ‘지도자’가 있어야 한다면, 너희는 스스로 생각하기를 그만두고서 심부름만 하겠다는 뜻이야. 어떤 ‘지도자’이든 사람들이 스스로 생각을 못 하도록 막거든. 남들한테 시키고서, 저는 뒤에 아늑히 물러앉아야 자리를 지킬 뿐 아니라 돈·힘·이름을 얻어. 너희는 ‘지도자’를 바라거나 부르거나 모시지 마. 그저 너희 스스로 해. 그리고 어느 엉터리가 위로 올라서서 ‘우쭐짓(지도자 행세)’을 한다면, 그냥 그를 쳐다보지 마. 멍청한 지도자를 끌어내린다면 다른 멍청한 지도자가 그 자리를 꿰차거든. 지도자 따위에 홀리지 마. 너희 삶은 너희가 돌봐. 너희 길은 너희가 골라서 가. 지도자가 있느니 없느니 탓하지 마. 지도자가 잘못했다고 타박하지 마. 네가 할 일을 네가 안 하고서, 심부름(시키는 일)만 받아서 노닥거리려 한 네 민낯을 봐. 손가락을 까딱까딱 가리키기만 하는 배불뚝이가 굶든 말든 쳐다보지 마. 그놈이 배고프면 스스로 기어내려와서 호미를 쥘 테니까. 2022.11.18.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