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빛/숲노래 우리말 2022.11.15.

숲노래 우리말꽃


‘파란하늘’하고 ‘푸른들’

말꽃삶 3 파랗다 푸르다



  빛깔말 가운데 ‘파랗다·파랑’이 있고, ‘푸르다·풀빛’이 있습니다. ‘-ㅇ’으로 맺는 빛깔말로 ‘파랑·빨강·노랑·하양·검정’이 있고, ‘-빛’으로 맺는 빛깔말로 ‘풀빛·보랏빛·잿빛·먹빛·물빛·쪽빛’이 있습니다.


 파란하늘

 푸른들


  ‘파랗다’는 하늘빛을 가리킵니다. ‘푸르다’는 들빛을 가리킵니다. 하늘은 바람으로 가득합니다. 아니, 하늘은 온통 ‘바람’이라 할 테지요. 이 바람은 여느 자리에서는 ‘바람’이되, ‘마파람·휘파람’처럼 다른 말하고 어울리면서 ‘파’ 꼴입니다.


 바람

 바다

 바닥

 바탕


  ‘파랑·파랗다’는 ‘바람빛’이라고 할 만합니다. 바람에 무슨 빛깔이 있느냐 할 텐데, ‘바람빛 = 하늘빛’이요, 우리 눈으로는 ‘파랑’으로 느낍니다. 다만, 이 파랑이라는 하늘빛이 비추는 ‘바다’는 ‘쪽빛’으로 물들기도 하되, 바다나 물에 바닷말이나 물풀이 끼면 ‘푸르게’ 물들기도 합니다.


  바다는 모름지기 ‘물빛’이거든요. 담거나 비추는 결에 따라 빛깔이 다릅니다. 곰곰이 보면 하늘도 해가 물드는 결에 따라 빛깔이 달라요. 동이 트면서 희뿌윰하지요. 얼핏 하얀하늘이 되고, 붉은하늘도 되며, 보라하늘도 됩니다. 노란하늘일 때도 있어요. 밤에는 까만하늘이고요.


  하늘이나 바람이나 바다나 물은 무엇을 품거나 담거나 안느냐에 따라 빛결이 바뀌는 셈입니다. 다만 ‘바탕’으로는 ‘파랑’이라는 숨결을 머금어요.


  곧 ‘파랑·파랗다’는 바탕을 이루는 빛이요, 바탕이란 ‘바닥’이기도 하지요. ‘바다’라는 곳도 물로 이룬 ‘바닥’입니다. 바다라는 곳은 바닥·바탕·밑을 이루면서 뭇숨결이 살아갈 수 있는 터전입니다. 하늘·바람도 뭇숨결이 살아가는 바탕이지요. 사람도 짐승도 벌레도 풀꽃나무도 숨(바람·하늘)을 쉬어야 살거든요.


 풀

 풀다

 풀빛


  ‘풀빛’이란 ‘풀’을 나타내는 빛깔입니다. 풀은 들풀도 있으나 ‘푸나무’처럼 나무에 돋는 잎도 있어요. 풀잎하고 나뭇잎은 모두 ‘풀빛’입니다. 푸르지요. 갓 돋을 적에는 감잎처럼 노란빛이 어리기도 하고, 가을에 물들 적에도 노랗거나 바알갛기도 합니다.


  풀이란 ‘풀다’라는 낱말하고 얽힙니다. 온 들판을 덮는 풀은 뭍에서 살아가는 목숨붙이한테 먹을거리이자 살림물(약)이기도 합니다. 모든 ‘약초’란 ‘풀’입니다. ‘살림풀’을 한자말로 ‘약초’라 할 뿐입니다.


 푸지다

 푸짐하다


  풀은 들을 덮지요. 숲도 덮습니다. 가없이 많은 결을 나타내는 ‘푸지다·푸짐하다’라는 낱말은 ‘풀’하고 같은 말밑입니다. ‘풀·풀빛’이란, 뭍·땅을 가득 덮는 빛깔이자 숨결을 가리켜요. ‘파랑·바람·바다’는 하늘·물을 가득 이루는 빛깔이자 숨결을 가리킵니다.


  그래서 예부터 ‘푸르다·파랗다’를 옳게 살피고 가누고 가려서 씁니다. 그런데 더 들여다보면, 풀하고 바람은 만나지요. 사람도 풀도 바람(하늘)을 마셔야 살아가거든요. 풀이 푸를 수 있는 바탕은 바람(하늘)을 머금기 때문입니다. 또한 풀은 뭍이며 땅에서 바탕이자 바닥이자 밑을 이루는 결입니다.


  옛사람은 이따금 “파랗게 새싹이 돋는다” 하고도 말했습니다. 틀림없이 풀이요 풀빛인데 왜 ‘파랗다’를 넣었을까요?


 싱그럽다

 맑다


  풀이며 바람은 싱그럽거나 맑은 기운입니다. 풀을 “파란 새싹”이라 할 적에는 “싱그러운 새싹”이나 “맑은 새싹”이라는 뜻입니다. 이때에는 숨결을 가리키는 말씨이니, 빛깔을 가리키지 않는 만큼, 헷갈리지 않아야 할 노릇입니다.


  ‘푸르다’는 ‘풋’으로도 잇습니다. ‘풋열매·풋능금·풋포도’처럼 쓰고, ‘풋사랑·풋풋하다·풋내기’로도 씁니다. 이때에 ‘풋-’은 “푸른 빛깔로 익은” 하나하고 “아직 덜 여물거나 익은” 둘을 가리켜요. 푸른 빛깔인 능금도 달큼한 맛으로 누리고, 푸른 빛깔은 포도도 달면서 살짝 신맛으로 누립니다.


  한자로 ‘청(靑)’은 ‘푸르다’입니다. 그런데 ‘청색’이란 한자말을 ‘푸르다’뿐 아니라 ‘파랗다’로도 자칫 섞어서 쓰기도 하면서, 우리말까지 그만 뒤섞는 분이 많더군요. 곰곰이 보면 한자 ‘청(淸)’이 따로 있어요. 푸른 결이건 파란 결이건, 어느 나라 어느 겨레에서나 ‘싱그럽다·맑다’를 담습니다. 빛깔뿐 아니라 숨결을 가리킬 적에 ‘파랗다·푸르다’를 나란히 쓰다 보니 헷갈리는 분이 나올 수 있습니다만, 우리말 ‘맑다·깨끗하다·정갈하다’는 비슷하되 다른 낱말입니다. ‘싱그럽다·싱싱하다·생생하다’도 비슷하되 다른 낱말이에요.


  어느 결에서는 맑음을 가리키려고 비슷하게 쓰더라도, 빛깔을 가리킬 적에는 또렷하게 갈라서 쓸 ‘파랗다·푸르다’입니다.


  ‘맑다’를 ‘티없다’로도 가리킵니다만, 두 낱말 ‘맑다·티없다’는 같은 낱말은 아닙니다. 비슷하게 가리키되 다른 낱말입니다. 물과 같은 결이기에 ‘맑다’이고, 티가 없기에 ‘티없다’입니다. 우리말 ‘맑다’는 “티가 없는 결”이 아닌 “물과 같은 결”을 가리킵니다. 그리고 “물과 같은 결 = 바다 같은 결 = 하늘 같은 결 = 바람 같은 결”로 잇습니다.


 파리하다

 새파랗게 질리다

 서슬이 푸르다

 한창 푸른 나날


  ‘파랗다’에서 갈린 ‘파리하다’가 있습니다. “파랗게 질린다”고 말합니다. 몸이나 얼굴에서 핏물이 사라진다고 여길 적에 ‘파랗다’라 하고, 핏기운이 사라지면서 아파 보이기에 ‘파리하다’라 합니다.


  ‘푸르다’는 “서슬이 푸르다” 꼴로 씁니다. 핏기운이 가실 적에는 ‘푸르다’를 안 씁니다. “서슬이 파랗다”처럼 쓰는 일도 없습니다. “새파랗게 어린 녀석”처럼 말합니다. “푸르게 어린 녀석”처럼 쓰는 일은 없습니다. ‘푸르다’는 “한창 푸른 나날을 보낸다”처럼 씁니다. 두 낱말 ‘파랗다·푸르다’는 맞물리는 자리도 있으나, 둘은 또렷하게 다른 낱말입니다.  


[국립국어원 낱말책]

푸르다 : 1. 맑은 가을 하늘이나 깊은 바다, 풀의 빛깔과 같이 밝고 선명하다

파랗다 : 1. 맑은 가을 하늘이나 깊은 바다, 새싹과 같이 밝고 선명하게 푸르다


  그러나 이 나라(국립국어원)에서 펴낸 낱말책은 두 낱말 ‘푸르다·파랗다’를 엉터리로 풀이합니다. ‘푸르다’에 “하늘빛·바다빛을 닮는다”로 풀이하거나 ‘파랗다’에 “선명하게 푸르다”라 풀이할 수 없습니다. 이처럼 틀린 말풀이는 얼른 바로잡을 노릇이고, 반드시 뉘우칠 일입니다.


  그렇다면 왜 국립국어원을 비롯한 적잖은 사람들이 우리말 ‘푸르다·파랗다’를 헷갈리거나 잘못 쓸까요?


  까닭은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어요.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배운 일이 드물거든요. 배움터에서는 ‘우리말’이 아닌 ‘국어’를 가르치고, 배움수렁(입시지옥)으로 치르는 ‘국어 시험’은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쓰거나 알거나 다루거나 익히거나 나누는 길을 짚지 않습니다. 온통 일본 한자말에 옮김말씨(번역어투)가 춤추는 ‘말비틀기’라고 할 만합니다. 더구나 낱말책(사전)조차 뜻풀이가 엉망입니다.


  배움턱을 한 발짝조차 디딘 적이 없이 시골에서 흙을 짓고 살아가던 수수한 어버이가 아이를 낳아 가르치던 지난날에는 ‘푸르다·파랗다’를 잘못 쓰거나 헷갈린 사람은 없었다고 여길 만합니다. 이와 달리 갈수록 ‘푸르다·파랗다’를 옳게 짚거나 가리는 사람이 빠르게 사라집니다. 이제는 시골에서 살거나 숲에 깃드는 어른이 확 줄 뿐 아니라, 시골에서 놀거나 숲을 품는 아이도 죄다 사라진 판이에요.


  들빛하고 하늘빛하고 바다빛을 늘 곁에 두면서 바라보지 않는 삶일 적에는 ‘푸르다·파랗다’라는 빛깔말을 삶으로 마주하거나 배우지 못 합니다. 모든 빛깔말은 들숲바다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런데 들숲바다를 삶자리에 두지 않는다면, ‘푸르다·파랗다’뿐 아니라 ‘노랗다·빨갛다·하얗다·검다’ 같은 밑말(기초어휘)이 어떤 뿌리이며 어떻게 퍼졌는가를 어림하기 어려울 만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