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배롱길 (2022.7.26.)

― 안산 〈선들바람〉



  책집이란, 다 다르게 살아가는 하루를 저마다 다르게 그려서 담아낸 이야기를 저마다 다르게 만나서 읽는 동안 언제나 새롭게 생각을 지피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을책집을 찾아갈 적에는 이 마을에서 살아가는 이웃님이 어떤 눈길로 이 마을을 사랑하면서 살림을 지피는가 하고 느끼려고 합니다. 마을책집이 선 곳 둘레를 한동안 거닐면서 마을바람을 헤아리고, 마을 곳곳으로 햇살이 어떻게 비추는가를 살피고, 마을 빈틈이나 귀퉁이나 기스락에 어떤 들꽃이 피고 어떤 나무가 자라는가를 돌아봅니다.


  오늘날에는 마을다운 마을이 사라진다고 할 수 있어요. 흙바닥이 사라지고 잿바닥(시멘트바닥)이 늘거든요. 부릉부릉 매캐한 길이 늘고, 아이들이 뛰놀거나 어른들이 돗자리 깔고서 수다를 떨 빈터가 잡아먹혀요. 더군다나 아이들은 마을에서 뛰놀 겨를을 빼앗기면서 배움수렁(입시지옥)에 갇히고, 어른들은 마을이웃하고 도란도란 어울리기보다는 일삯을 벌어야 하는 일터에 매이곤 합니다.


  배롱꽃빛이 눈부신 한여름 막바지에 안산 〈선들바람〉으로 마실합니다. 전라도나 경상도 시골이 아닌 경기 안산 한복판에서 배롱나무를 만날 줄 몰랐습니다. 안산은 큰고장이면서도 곳곳에 빈틈을 마련해서 풀꽃나무가 우거지도록 하는군요. 사람 발길이 닿을 수 없는 조그마한 풀숲이 꽤 넓습니다.


  쉼터(공원)는 사람만 쉬어야 하는 데가 아니에요. 새도 풀벌레도 매미도 지렁이도 쉴 수 있어야 쉼터입니다. 사람들 발길이나 손길이 닿지 않는 데에서 홀가분히 풀꽃나무가 피고 질 수 있어야 쉼터입니다.


  1998년에 비로소 찰칵이(사진기)를 다루는 길을 배우기 앞서는, 스스로 찰칵찰칵 찍어서 남길 생각을 안 했습니다. 이무렵까지 책집을 다니며 김기찬 님 빛꽃책(사진책)을 곧잘 넘겼는데, “나는 내가 나고자란 인천에서 골목빛을 허벌나게 보기는 했으나 굳이 골목을 찍지 말자”고 생각했어요. 이렇게 인천골목을 그러려니 지나쳤는데, 2007년에 인천으로 돌아와 책숲(도서관)을 열면서 ‘인천골목으로 사진마실(출사)을 나오는 사람들이 찍는 매무새’를 석 달 즈음 구경하고 나서 생각을 바꾸었어요. “골목이 뭔지 생각조차 않고, 골목에서 산 적도 없고, 골목에서 살 생각도 없고, 골목사람을 이웃이나 동무로 사귈 마음마저 없는, 그렇지만 손에는 값비싼 찰칵이를 거머쥔 분이 인천골목을 엉터리로 찍고 전시회를 열며 우쭐거리는 짓이 슬펐’어요. ‘골목빛을 그저 골목빛으로 담아서 넌지시 보여주자’고 생각했어요. 마을책집도 언제나 마을책집입니다. 배롱꽃도 늘 배롱꽃이에요.


ㅅㄴㄹ


《영국, 바꾸지 않아도 행복한 나라》(이식·전원경, 책읽는고양이, 2000.6.30.첫/2017.12.14.23벌)

《바닷가에 가 보아요》(제종길·임미정·이선경·이학곤·김종문 엮음, 해양수산부, 2003.12.15.)

《도시 상상 노트》(제종길 글·이호중 그림, 자연과생태, 2018.3.10.)

《한국의 조개》(민덕기·이준상, 민패류연구소·한글, 2005.2.1.)

《우렁이와 달팽이》(이준상·민덕기, 민패류연구소·한글, 2005.3.15.)

《제주도 음식》(김지순 글·안승일 사진, 대원사, 1998.5.15.첫/2016.5.25.4벌)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