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9.25.
《正音文庫 59 우파니샤드》
박석일 옮김, 정음사, 1976.1.10.
오늘 하루도 고즈넉이 흐른다. 집안일을 하고 말꽃짓기를 한다. 바람을 쐬고 빨래를 말린다. 밥을 짓고 물을 마신다. 책을 읽고 등허리를 편다. 햇볕을 머금고 풀꽃나무를 쓰다듬는다. 구름을 보다가 밤에 찾아들 별빛을 그린다. 《正音文庫 59 우파니샤드》를 새삼스레 읽었다. 《우파니샤드》는 여태 여러 판으로 장만해서 읽었다. 누구나 스스로 어질게 살아갈 길을 비추는 옛이야기라 할 텐데, 우리 터전에서는 우리 살림살이에 걸맞게 갈무리한 어떤 옛이야기가 있을까? ‘오늘이야기’이든 ‘옛이야기’이든 가르침(훈계·교육)일 수 없다. 이야기는 그저 ‘이야기’이다. 우리말 뿌리를 헤아리면 ‘이야기 = 잇는 말·마음’이다. 주거니받거니 흐를 적에는 ‘잇는’ 마음으로 생각을 말에 담을 뿐이니, 가르치거나 배우는 일하고는 멀다. 한자말 ‘대화·소통·의사소통’을 써도 안 나쁘지만, 그런 한자말에는 우리 삶뿌리가 없다. 우리 삶뿌리는 우리말에 깃든다. 아주 작고 흔한 낱말에 감도는 숨빛을 읽어낼 적에, 스스로 일어서는 길을 스스로 찾고, 아이를 사랑하면서 어버이로서 사람답게 피어나는 길을 스스로 깨닫는다. 아이를 가르쳐야 할 까닭이 없다. 아이하고 이야기를 하면, 아이도 어버이도 어느새 새롭게 배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