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 ㅣ 창비시선 27
이가림 지음 / 창비 / 1981년 5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0.21.
노래책시렁 238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
이가림
창작과비평사
1981.5.30.
요새는 아이들이 말을 못 배우고 글을 배웁니다. 예부터 아이들은 말을 배우면서 마음을 가꾸는 길을 스스로 노래로 돌보고 무럭무럭 자랐어요. 오늘날 아이들은 말하고 동떨어지면서 글을 꾸미는 하루에 길들어요.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는 퍽 잘 꾸민 글입니다. 반드레레하게 손질해 놓은 글입니다. 이렇게 꾸미거나 손질한 글이기에 ‘시’라는 이름을 붙이는구나 싶습니다. 이처럼 꾸미거나 손질한 글은 나쁠 수 없습니다. 그저 ‘꾸민 글’이나 ‘손질한 글’에 그칠 뿐입니다만, ‘문학’으로 가르치거나 배우는 자리에서 들려주거나 외우더군요. 왜 배움판(학교·강의)에서는 ‘꾸민 글’이나 ‘손질한 글’만 들려주거나 외우거나 따라쓰도록 할까요? 왜 삶글이 아닌 꾸밈글을 베껴쓰기(필사)를 시키거나 할까요? 왜 살림글이 아닌 꾸밈글에만 ‘문학’이란 껍데기를 씌울까요? 모든 ‘글자랑(문학상·백일장)’은 덧없습니다. 누구나 날마다 삶을 이야기하면 넉넉할 뿐이요, 이 이야기를 옮기면 고스란히 글입니다. 자랑할 삶이 아니니, 자랑할 글이 아닙니다. 말(국어)과 노래(문학)는 셈겨룸(시험문제)으로 다룰 수 없고, 가르칠(강의) 수 없습니다. 스스로 삶을 가꾸는 사람은 스스로 삶을 노래합니다. 삶이 없으니 멋을 찾더군요.
ㅅㄴㄹ
나를 짓밟아다오 제발 / 수세식 변소에 팔려 온 이 비천한 몸 / 억울하게 모가지가 부러진 채 / 유리컵에나 꽂혀 썩어가는 외로움을 / 이 눈물겨운 목숨을, 누가 알랴. / 말라비틀어진 고향의 얼굴을 만나면 / 죽고 싶다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 슬픈 전라도 계집의 죄, / 풀꽃들만 흐느끼는 낯익은 핏줄의 벌판은 / 이미 닳아진 자를 받아주지 않는다. (오랑캐꽃 1/26쪽)
가시내야, 가시내야 / 우리도 예전엔 / 한개 고운 피리였단다 / 가느랗게 心琴 울리는 피리였단다 (피리타령/4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